진천 송두리 쇠뿔손잡이단지(牛角形把手壺) 진천 송두리 쇠뿔손잡이단지(牛角形把手壺) <국립청주박물관> 진천 송두리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는 충북지방에서 유일하게 쇠뿔손잡이토기 등 영남지방 양식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송두리 출토 영남지방 양식의 토기는 이 시기 충북지방과 영남지방의 문화와 사람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진천 송두리 제사토기(祭祀土器) 진천 송두리 제사토기(祭祀土器) <국립청주박물관> ▲제사토기(祭祀土器, 원삼국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진천 송두리 바리(土器鉢) 진천 송두리 바리(土器鉢) <국립청주박물관> ▲바리(土器鉢, 원삼국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진천 송두리 독(瓮) 진천 송두리 독(瓮) <국립청주박물관> ▲독(瓮, 원삼국 3세기)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청주 비하동 덧띠토기(粘土帶土器) 청주 비하동 덧띠토기(粘土帶土器) <국립청주박물관>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민무늬토기의 한 형식이다. 토기의 입술 바깥에 단면원형·타원형·삼각형 등의 덧띠[粘土帶]를 말아붙여 입술부분을 보강한 토기로서 점토대토기라고도 한다. 덧띠를 따로 만들어 붙였기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청주 비하동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청주 비하동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국립청주박물관> 토기의 겉면이 검은색을 띠고, 갈아서 광택이 나기 때문에 검정토기·흑색토기·흑색마연토기·흑도 등으로도 불린다. 검은간토기라고 해서 반드시 그릇 전체가 검은색만을 띠거나 전체를 다 간 것은 아니며, 일부만 간 흔적이 있거나 회..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제천 양평리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제천 양평리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국립청주박물관> 토기 겉에 붉은색 물감을 발라 간(마연한) 토기이다. 홍도(紅陶)·적색마연토기(赤色磨硏土器)·단도마연토기(丹塗磨硏土器)라고도 한다.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청동기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청원 병암리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청원 병암리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국립청주박물관> ▲붉은간토기(赤色磨硏土器, 청동기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2
단양 애곡리 수양개 토기단지ㆍ뚜껑(土器壺ㆍ蓋) 단양 애곡리 수양개 토기단지·뚜껑(土器壺·蓋) <국립청주박물관> ▲토기단지·뚜껑(土器壺·蓋, 원삼국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1
제천 도화리 짚자국민무늬토기(無文土器) 제천 도화리 짚자국민무늬토기(無文土器) <국립청주박물관> ▲짚자국민무늬토기(無文土器, 청동기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