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사천문

蔥叟 2016. 12. 26. 05:06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사천문

 

정면 3, 측면 2칸의 사천문에는 목조사천왕상 4구와 소현 금강역사상 2구가 버티고 서있다. 1995년 순천대 박물관 조사단에 의하여 이 사천왕상 무릎과 어깨에서 250여 권의 불서가 발견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가정 18년 즉 중종 34(1539) 조성의 조상기가 발견되었다. 사천왕은 갑옷을 입고 위엄이 충만한 무인상을 하고 동···북의 사천국을 다스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사찰입구에 사천왕문을 세워 모시고 있다. 대웅전을 향하여 오른쪽에는 동방 지국천왕과 북방 다문천왕이, 왼쪽에는 남방 증장천왕과 서방 광목천왕이 위치하고 있다.

 

동방 지국천왕은 호화롭게 장식된 보관을 쓰고 얼굴은 분노한 표정을 하였으며, 복장은 갑옷과 천의를 입고 있다. 건장한 체구에 오른손으로 칼자루를 잡고 왼손은 칼끝을 받쳐 들고 있다. 북방 다문천왕은 높직한 보관을 쓰고 미소를 띤 인자한 모습으로 선비형의 눈썹과 긴 턱수염에서 부드러운 문인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비파를 들고 있으며, 발아래에는 힘에 겨운 듯 고통스러워하는 악귀가 왼쪽다리를 받쳐 들고 있다. 남방 증장천왕은 굳게 다문 입과 함께 근엄한 얼굴 표정을 하고 있고, 오른손에 칼을 들고 있고 있으며, 왼손은 무엇인가 쥐고 있는듯한 자세만을 취하고 있다. 당당해 보이는 신체는 수호신으로서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서방 광목천왕은 부릅뜬 눈에 입을 벌리고 소리지르는 듯한 위엄있는 모습이다. 오른손에는 깃발을 잡고 왼손에는 무엇인가 들고 있었던 모습인데 보탑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시대 사천왕상 대부분이 중국식 갑옷에 각기 다른 상징물을 들고 있으며 발밑에는 악귀를 밟는 형태상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무장한 분노상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천의자락을 휘날리며 보관 밑으로 흘러내린 머리카락이 귓바퀴를 돌아 어깨 위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자비로운 보살상의 모습이 추가되고 있다. 보림사의 사천왕상은 이러한 특성을 가장 앞서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조각사적 비중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조성시기는 천왕문에 걸린 목판과 보림사중창불사기록에 의하여 중종 10(1515)에 조성되고 이후 2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림사 사천왕상은 현존하는 천왕문 목조사천왕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임진왜란 이전의 것으로는 유일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각 부의 조각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사천왕상의 기본이 되는 귀중한 유물로 평가된다  


▲사천문


▲사천문


▲사천문 편액


▲사천문 편액


▲동방지국천왕


▲동방지국천왕


▲인왕상


▲서방광목천왕


▲서방광목천왕


▲남방증방천왕


▲남방증방천왕


▲남방증방천왕


▲인왕상


북방다문천왕


북방다문천왕

 

 

 

<2016.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