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학구재ㆍ지락재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학구재ㆍ지락재 원장실과 교수실 뒤로는 學求齋(학구재)와 至樂齋(지락재)가 있는데, 유생들의 기숙사다. 학문을 상징하는 「三」을 취하여 세 칸으로 지었고, 공부 잘하라는 뜻으로 건물 立面이 「工」 자로 되어 있다. 학생은 스승의 그림자도 밟아서는 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4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일신재ㆍ직방재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일신재ㆍ직방재 直方齎(직방재)와 日新齎(일신재)란 현판이 붙은 건물 하나가 있다. 서쪽의 직방재는 소수서원의 원장, 동쪽의 일신재는 교수들의 숙소다. 그 중간방은 諸任(제임), 즉 행정요원들의 방이다. '大學'에서 '日新'을, '周易'에서 '直方'을 따서 이름..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4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소수서원의 정문인 홍전문을 지나면 동쪽에 門成公廟(문성공묘)가 있다. 文成公 안향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安軸(안축)·安輔(안보) 형제와 주세붕을 배향했다. 안축은 景幾體歌(경기체가)인 「關東別曲」(관동별곡)과 「竹溪別曲」(죽계별곡)을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3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소수서원(紹修書院)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숙수사(宿水寺) 터에 세워졌다. 절터에 서원을 조영하였다는 사실은 사원에서 서원으로 옮겨가는 시대적 전환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조선 중종 대에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3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렴정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경렴정 서원입구에서 시작되는 숲속 길이 끝날 무렵이면 죽계천변에 「景濂亭」(경렴정)이라 쓰인 참한 정자 하나가 서 있다. 주세붕(周世鵬)이 1543년 지었다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퇴계의 제자인 초서의 대가 黃耆老(황기로)가 썼다. 경렴정(景濂亭)은 유생..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2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죽계천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죽계천 소수서원을 북서쪽에서 북동을 지나 남동쪽으로 감돌아 흐르는 죽계천은 고려 때 안축의 죽계별곡의 창작배경지가 된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퇴계 이황이 죽계구곡을 명명한 곳이기도 하다. 죽계천 건너편에는 운치있는 소나무 숲 속에 아담한 정자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2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송림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송림 소수서원 경내로 들어가는 길에 낙락장송들이 길게 늘어서 있다. 300년에서 길게는 1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소나무 수백그루가 마치 서원을 향해 경배하듯 군락을 이루고 있다. 소수서원의 소나무는 겉과 속이 모두 붉은 적송으로 일본의 국보인 광륭사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1
한국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시사단 한국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시사단 조선시대에 문예부흥을 일으킨 정조 대왕은 1792년(정조 16년) 3월 퇴계 이황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여 규장각 학사 이만수를 보내 과거시험(도산별과 : 陶山別科 - 지방사람들의 사기를 높여주기 위하여 어명으로 실시한 특별과거)을 도산서원에서 실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2.01
한국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한국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서원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전교당(典敎堂)은 여러 사람이 모여 강론을 하거나 큰 회합을 개최했던 장소로 현대 교육기관의 대강당 같은 역할을 했었다. 크기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고, 팔작지붕 단층의 목조 건물이다. 1574년(선조 7년)에 세웠으며, 도..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1.31
한국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진도문ㆍ광명실 한국의 서원 - 안동 도산서원 진도문ㆍ광명실 도산서당의 위쪽으로 서원을 건립하면서 도산서당과 농운정사의 사이에 진입로가 만들어졌다. 진도문進道門은 이 진입 공간을 따라 서원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아래쪽의 서당영역과 서원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외부와 경계를 짓는 문으로 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