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빙산사터 오층석탑 의성 빙산사터 오층석탑 빙산사터 오층석탑으로 가는 길은 아름답다. 아마도 절이 들어서기 전부터 비범한 장소였을 것이다. 이 탑이 서 있었던 절의 이름은 빙산사. 절의 이름은 '빙계'라 부리던 계곡이름에서 따왔으리라. 얼음골이라는 이름 그대로 한여름에도 얼음을 볼 수 있는 골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2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정조지탑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정조지탑 일연스님 승탑은 일제강점기 일인들에 의해 도굴되어 화북 3리 둥딩마을 뒷산 부도골에 넘어져 있던 것을 옮겨 복원한 것으로, 신라 이래 가장 보편적인 승탑 양식인 팔각원당형을 따르고 있다.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진 지대석 위에 희미하게 복련이 새겨..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1
군위 인각사 재현 보각국사정조지탑비 군위 인각사 재현 보각국사정조지탑비 일연스님 탄신 800주년이었던 2006년, 보각국사 일연선사비가 그가 생전에 주석한 경북 군위군 인각사(麟角寺)에 복원, 제막되었다. 문화재청 지원을 받아 군위군과 인각사가 추진한 비 복원 사업은 일연 탄생 800주년을 기념한다는 뜻도 담았다. 복원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1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오랫동안의 복원작업 끝에 인각사 삼층석탑이 복원되었다. 해체하기 전 기단부 상대갑석 아랫 부분이 지하에 뭍힌 상태였다. 부터인데,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의 양식을 이어 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 일부가 남아 있다. 상층기단의 갑석은 2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1
군위 인각사 석조여래좌상 군위 인각사 석조여래좌상 이 불상은 10~11세기에 제작한 불상으로 실존하는 고승을 모델로 하여 조성한 불상양식과 계층을 같이 하는 것이다. 광배와 한 돌로 구성된 석불좌상인데광배는 거의 깨어졌으나 불상은 온전하게 남아있고 , 머리는 육게는 불분명하지만 윤곽선이 표현되어 육계..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1
군위 인각사 법환대사탑 군위 인각사 법환대사탑 就眞堂法還大師之塔 취진당 법환 스님의 부도는 조선시대에 흔히 나타나는 석종형(石鍾形)이 아닌 점이 흥미로운데, 기단부·탑신부·옥개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높이 180㎝이다. ▲인각사 승탑전 ▲법환대사탑 ▲법환대사탑 ▲법환대사탑 명문 ▲법환대사..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0
군위 인각사 계훈대사탑 군위 인각사 계훈대사탑 燕月堂桂勳大師之塔 연월 계훈 스님의 부도는 석종형으로 탑신의 상부에 보상화문으로 장식된 두 줄의 띠를 두르고 그 위를 높여 마치 대(臺) 마련한 듯이 하고, 그 위에 큼지막한 보주(寶珠)를 얹었다. 전체 높이 139㎝이다. ▲인각사 승탑전 ▲계훈대사탑 ▲계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0
군위 인각사 법장대사탑 군위 인각사 법장대사탑 淸眞堂法藏大師之塔 청진당 법장 스님의 부도 역시 석종형으로 상부에 두 줄의 띠를 두른 형태 등이 연월 계훈 스님의 부도와 전체적으로 비슷하지만, 띠 위에 대(臺)가 없이 바로 보주를 얹은 것이 다르다. 전체 높이 135㎝이다. ▲인각사 승탑전 ▲법장대사탑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20
영주 소수서원 회헌영정 영주 소수서원 회헌영정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보급한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0.07
호수와 왕버들의 절묘한 만남 - 청송 주왕산 주산지 호수와 왕버들의 절묘한 만남 - 청송 주왕산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왕버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