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산길 - 경주 남산 오산계 양피사터 삼층석탑 동남산길 - 경주 남산 오산계 양피사터 삼층석탑 삼국유사 염불사조 끝부분에 "절 옆에 또 절이 있어 이름을 양피사(讓避寺)라고 하였으니 마을 이름에 따라 이름짓게 된 것이다." 라는 기록이 덧붙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남산리 삼층석탑이라 불리는 곳이 바로 양피사터이다. 그 앞에 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25
동남산길 - 경주 남산 철와골 서출지 동남산길 - 경주 남산 철와골 서출지 동남산 자락 철와골 입구에 아름다운 연못이 있다. 이름하여 서출지. 글이 나온 연못이다. 봄을 맞아 수중 식물이 푸르름을 더하고 있어 정취가 그윽하다. 연못 둘레에는 베롱나무가 연두색 잎을 내밀었다. 여름이면 붉은 꽃을 피우게 될 것이다. 오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24
동남산길 - 경주 남산 천암골 석조감실 동남산길 - 경주 남산 천암골 석조감실 이 감실의 크기는 높이 2.5m, 내부공간의 바닥 길이 1m, 높이 1.4m, 깊이 0.9m인데, 석조 불상을 모셔두던 곳이다. 남향을 하고 있으며 그리 다듬지 않은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삼고, 그 위에는 방형판석 4매를 결구하여 불상을 안치하는 공간을 만들었다.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23
동남산길 - 경주 남산 미륵골 석조여래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미륵골 석조여래좌상 미륵곡 보리사는 신라시대의 기록에도 등장하는 절이름이다.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위치를 기술하면서 '보리사 동남쪽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다. 하지만 현재의 보리사가 당시의 보리사인지는 두 왕릉의 진위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22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서면 비천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서면 비천상 본존불 위에는 비천상이 있다. 부처바위의 다른 비천상들은 모두 하반신이 표현되어 있지 않으나 서면의 비천상은 유일하게 전신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에는 연봉을 쥐고 발과 천의를 위로 날리면서 날고 있는 모습이다. 본존불 좌측..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21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서면 여래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서면 여래좌상 서면에는 불상 1구와 그 좌우에 보리수 2그루가 있고 본존불 위로 비천상 2구가 있다. 본존불의 얼굴은 원형으로 약간 마멸이 되어 눈과 눈썹은 윤곽만 보이고 코는 길고 입은 크다. 머리는 소발이고 작은 육계가 있다. 목은 짧아 얼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20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삼층석탑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삼층석탑 남면에서 좀 떨어져서 삼층석탑이 서 있다. 삼층석탑은 단층기단으로 초층탑신 괴임이 2단으로 되어 있다. 초층탑신에 비해 2층, 3층탑신의 체감비율이 현저하다. 층급받침은 3단이고 지붕돌이 높고 짧아 둔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의 낙수면은 가파..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9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남면 승려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남면 승려좌상 남면 앞에는 큰 바위 덩어리가 있는데, 이 바위 측면에 또 1구의 승려상이 있다. 보리수로 생각되는 나무 밑에 좌선을 하는 상으로 갸름한 얼굴에 자비스러운 모습이다. 눈, 코, 입 등이 뚜렷하며 온화한 표현 등에서 전체적인 분위기..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8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남면 여래입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마애조상군 남면 여래입상 승려좌상 앞에는 여래입상이 환조로 조각되어 있다. 여래입상은 발목 이상과 이하로 구분하여 두장의 돌로 조성하였다. 두광과 얼굴 윗부분이 훼손되어 전체적인 식별이 어렵다. 얼굴에는 두 귀가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당당한 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7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남면 승려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남면 승려좌상 삼존불의 오른편에는 승려좌상이 있다. 얼굴은 타원형으로 양쪽 귀는 표현하지 않앗고 두 손은 배 앞에 모으고 있는데 두 손을 감싸 흘러 내리고 있다. 하반신은 마멸이 심하여 무릎의 형체를 잘 알아볼 수 없으나 우측 무릎 일부가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