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천마총 출토 천마도 장니 경주 천마총 출토 천마도 장니 天馬圖障泥 경주 대릉원에 위치한 천마총은 봉분 지름 약 47m에 높이 12.7m이며 조사 결과 무덤 축조 연대는 5세기 후반 이래 6세기 초로 추정된다. 출토품 양상이나 무덤 규모로 보아 왕릉 혹은 그에 준하는 무덤이다. 따라서 이를 왕릉으로 본다면 이에 묻힌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6
경주 천마총 출토 금귀걸이 경주 천마총 출토 금귀걸이 신라에서는 남녀 구분없이 귀걸이를 즐겨 착용하였다. 돌무지덧널무덤이 축조되는 마립간 시기에는 금으로 만든 귀걸이가 많이 출토된다. 중심고리主環의 형태에 따라 굵은고리太環와 가는고리細環로 구분되는데, 사회적 신분이나 성별을 반영하였을 가능성..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5
경주 천마총 출토 유리잔 경주 천마총 출토 유리잔 옅은 푸른빛을 띠는 유리잔으로 군데군데 이물질이 있다. 바닥은 가운데가 약간 들려있으며, 몸체 윗부분에 세로선무늬와 아랫부분에 거북이등무늬가 새겨져 있다. 무늬를 보아 무늬가 새겨진 틀에 유리액을 대통으로 불어 넣어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유..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4
경주 천마총 출토 청동자루솥 경주 천마총 출토 청동자루솥 청동자루솥은 낙랑을 통하여 처음 한반도로 들어왔다. 대부분 무덤에서 출토되며, 크기가 작고 화려하다는 점에서 의례용으로 추정된다. 천마총 출토 자루솥은 항아리와 같이 생긴 주구注口가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비슷한 형태로는 서봉총 출토 세발자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3
경주 천마총 출토 청동세발솥 경주 천마총 출토 청동세발솥 중국의 청동기 중에서 대표적인 제사그릇이다. 중국 한나라 때의 허신許愼이 만든 한자풀이책<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정鼎이란 '다리가 세 개이며, 양쪽으로 귀를 가지고 있으며...형태는 나무뿌리와 같고 음식을 만드는 그릇으로 쓰였다' 고 한다. ▲청..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2
경주 천마총 출토 금제관모꾸미개 경주 천마총 출토 금제관모꾸미개 관모의 앞부분에 끼워 사용하는 장식이다. 금판 1매를 나비 모양으로 오려 만들고 코끼리 눈과 같은 무늬를 맞새김하였다. 중앙에 선을 잡아 약간 접힌 상태이다. 새날개모양관장식과 함께 신라의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새품이다. ▲금제관모꾸미개 ▲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1
경주 천마총 출토 금제관모 경주 천마총 출토 금제관모 금관과 함께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세품의 하나이다. 고깔모자와 비슷하지만, 머리에 직접 착용하기에는 작다. 아랫부분에 구멍이 있는 점으로 볼 때 가죽 혹은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모자의 겉을 장식한 것으로 보인다. ▲금제관모 ▲금제관모(부분) <2014. 3.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10
경주 금령총 출토 기마인물형주자 경주 금령총 출토 기마인물형주자 기마인물형주자는 1924년 경주시 노동동에 있는 금령총에서 발굴되었다. 기마인물형주자는 신라 왕실에서 술이나 물을 따르는 데 쓰던 주자(注子)이다. 말 등의 깔때기로 액체를 넣고, 말 가슴의 대롱으로 액체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 말 내부도 비어 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09
경주 광석리 지석묘 경주 광석리 지석묘 상신3리의 광석마을 북쪽 속칭 큰 들이라고 하는 평야지대의 논과 밭에 20여기의 지석묘가 산재하고 있다. 지석묘가 위치하는 속칭 큰들은 규모가 크지 않지만 들 앞으로 흐르는 이조천伊助川 양안에는 상당히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지석묘들은 해발 약 7~80m정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08
경주 안심리 암각화 경주 안심리 암각화 안심리 암각화는 1995년 2월 초 송재중선생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었다. 마을에서 '여우바위' 로 불리던 자연석으로 옆의 묘소와 함께 일정한 공간을 갖고 얿은 들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어 주변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암각화는 지석묘와 같은 형태인 자연석의 동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