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남면 여래삼존상 동남산 가는 길 - 경주 남산 탑골 남면 마애여래삼존상 남면은 부처바위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삼존불과 보리수 그리고 승려상 2구와 여래입상 1구가 배치되어있다. 삼존불은 감실을 설치하고 안치하였다. 마멸이 심하여 눈, 코, 입 등이 세부는 뚜렷하지 않지만 윤곽은 파악할 수 있다.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5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신장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신장상 수하승려상의 남쪽 바위의 남쪽면에 신장상이 있다. 얼굴은 좌측으로 돌리고 있으며, 허리는 우측으로 제치고 있다. 양팔은 좌우로 벌리고 오른손에는 삼지창을 들고 있다. 갑옷을 입고 있으며 입구를 바라보고 있다. 신장상이 있는 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4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수하승려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수하승려상 동면의 좌측에는 두 그루의 보리수 밑에서 좌선하는 승려상이 있다. 민머리에 얼굴은 타원형이고 납의는 통견으로 양손을 감싸 흘러내리고 있다. 좌우로 보리수로 보이는 두그루의 나무가 있는데 잎들을 짤막짤막하게 표현하고 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3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비천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비천상 비천은 모두 본존을 향하여 천의를 날리고 있다. 이들은 가슴에 두 손을 모으고 있거나, 연봉을 지물로 들고 있다. 머리에는 한결같이 결발을 하고 있는데, 마치 리본을 꽂은 것 같이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가슴까지만 표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2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공양승려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공양승려상 보살좌상의 왼편 아래쪽에 공양승려상이 있다. 공양승려상은 본존을 향하여 향로를 들고 무릎을 꿇고 앉은 측면관이다. 얼굴은 갸름하고 코는 매부리코이다. 밑에는 방석을 깔고 앉아있다. 승려상은 한쪽 무릎은 꿇고 다른 한쪽은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1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보살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보살좌상 왼쪽의 보살상은 여래보다 작은 모습인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양쪽 어깨에 천의가 표현되어 있다. 얼굴은 본존을 향하였고 두 손은 합장을 하고 있다. 코는 매부리코이고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는데 귀끝이 外返되고 있다. 어깨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10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여래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여래좌상 동면에는 불상, 보살상, 승상, 비천상, 가릉빈가, 연화 등이 조각되었고, 좌측 벽에 승상 2구와 신장상 및 보리수 2그루 등 가장 많은 상들이 조각되었다. 가운데 여래좌상이 앉아있고 왼쪽에 협시보살이 여래를 향하여 앉아있다. 아랫..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09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사자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사자상 탑 기단부 아래에는 암수 사자상을 배치하여 수호신으로 삼았다. 날렵하게 달리는 모습의 사자는 꼬리 끝이 세 가닥으로 갈려져 휘날리고 있으며 특히 오른쪽 사자의 머리에는 갈기가 표현되어 있다. 왼쪽 사자는 입을 벌리고 있으나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08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여래좌상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여래좌상 지상10m 높이의 바위 벼랑에 여래좌상과 좌우에 5m 정도의 9층탑과 3.5m 정도의 7층탑이 부조되어 있다. 여래 한 분과 쌍탑이 예배의 대상이다. 여래좌상을 금당에 비유한다면 쌍탑일금당 가람인 셈이다. 여래좌상은 연화대좌 위에 앉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07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마애탑 동남산길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마애탑 여래좌상 좌우로 2기의 목탑이 새겨져 있다. 탑은 2기가 같은 수법인데 하나는 구층 또 하나는 칠층인데 칠층탑은 아마 암벽 높이의 제한으로 칠층으로 조각한 것 같다. 2층기단으로 층마다 창문이 있어 목탑을 조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