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공양승려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공양승려상 보살좌상의 왼편 아래쪽에 공양승려상이 있다. 공양승려상은 본존을 향하여 향로를 들고 무릎을 꿇고 앉은 측면관이다. 얼굴은 갸름하고 코는 매부리코이다. 밑에는 방석을 깔고 앉아있다. 승려상은 한쪽 무릎은 꿇고 다른 한쪽은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25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가릉빈가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가릉빈가상 부처바위 동면 여래좌상의 머리 오른편 비천상과의 사이에 가릉빈가로 보이는 조각이 보인다. 가릉빈가는 새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한 이른바 인두조신의 모습을 한 상상의 새인데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하여 묘음조라고도 불린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24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비천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비천상 동면에는 가운데에 자리한 여래좌상과 보살좌상을 중심으로 7구의 비천상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모습을 새겼다. 비천은 모두 본존을 향하여 천의를 날리고 있다. 이들은 가슴에 두 손을 모으고 있거나, 연봉을 지물로 들고 있다. 머리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23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보살좌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보살좌상 여래좌상 왼쪽의 보살상은 여래보다 작은 모습인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양쪽 어깨에 천의가 표현되어 있다. 얼굴은 본존을 향하였고 두 손은 합장을 하고 있다. 코는 매부리코이고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는데 귀끝이 外返되고 있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22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여래좌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동면 여래좌상 동면에는 불상, 보살상, 승상, 비천상, 가릉빈가, 연화 등이 조각되었고, 좌측 벽에 승상 2구와 신장상 및 보리수 2그루 등 가장 많은 상들이 조각되었다. 가운데 여래좌상이 앉아있고 왼쪽에 협시보살이 여래를 향하여 앉아있다. 아랫..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21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사자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사자상 마애구층탑과 마애칠층탑의 기단부 아래에는 암수 사자상을 배치하여 수호신으로 삼았다. 날렵하게 달리는 모습의 사자는 꼬리 끝이 세 가닥으로 갈려져 휘날리고 있으며 특히 오른쪽 사자의 머리에는 갈기가 표현되어 있다. 왼쪽 사..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20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비천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비천상 구층마애탑 상륜부 위에는 비천상 2구가 하늘을 날고 있다. 천의 자락을 날리면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날아가는 모습이다. 마모가 심하여 광선이 잘들어오는 시간이 아니면 알아보기가 힘든다. ▲부처바위와 비천상 ▲부처바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19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마애칠층탑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마애칠층탑 마애구층탑의 맞은편에 마애칠층탑이 새겨져 있다. 칠층탑은 아마 암벽 높이의 제한으로 칠층으로 조각한 것 같다. 칠층탑 역시 2층기단으로 층마다 창문이 있어 목탑을 조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붕은 완만하게 물매가 기울었고..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18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마애구층탑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마애구층탑 여래좌상 좌우로 2기의 마애탑이 새겨져 있다. 여래의 왼쪽에는 칠층탑을 오른쪽에는 구층탑을 새겼다. 2층기단으로 층마다 창문이 있어 목탑을 조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붕은 완만하게 물매가 기울었고 추녀 끝에는 풍탁이 달..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17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여래좌상 부처바위 -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 북면 여래좌상 부처바위 북면에는 지상10m 높이의 바위 벼랑에 여래좌상과 좌우에 5m 정도의 9층탑과 3.5m 정도의 7층탑이 부조되어 있다. 여래 한 분과 쌍탑이 예배의 대상이다. 여래좌상을 금당에 비유한다면 쌍탑일금당 가람인 셈이다. 여래좌상은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