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성덕왕릉 십이지원숭이상 경주 성덕왕릉 십이지원숭이상 통일신라 8세기 신라 성덕대왕의 능 주위에 돌려져 있던 십이지 중 원숭이상이다. 십이지는 방위와 시간을 지키는 신으로 12가지 동물로 나타난다. 통일신라시대 중국 당나라에서 들어온 십이지는 처음에는 무덤 안에 들어갔으나, 곧 무장을 한 신장상으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9
경주 구정동방형분 무인상모서리기둥 경주 구정동방형분 무인상모서리기둥 9~10세기 구정동 대덕산 남쪽 구릉 말단에는 9~10세기에 만들어진 신라 돌방무덤이 하나 있다. 이 무덤은 독특하게 네모난 형태를 하고 있는데, 무덤의 주인공은 봉분을 따라 돌린 둘레돌과 십이지신산 등에서 볼 때 왕으로 추정된다. 네모난 봉분의 각..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9
경주 전김유신묘 십이지돼지상 경주 전김유신묘 십이지돼지상 8~9세기 ▲십이지돼지상 ▲십이지돼지상 ▲십이지돼지상 <2014. 8. 19>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9
경주 서봉총 금관 경주 서봉총 금관 서봉총에서 출토된 높이 30.7㎝, 지름 18.4㎝, 드리개(수식) 길이 24.7㎝인 금관이다. 넓은 관 테 위에 5개의 가지를 세웠고, 상하에 점선으로 물결무늬를 찍고 나뭇잎 모양의 원판과 굽은 옥으로 장식했다. 관 테에 못으로 고정시켜서 세운 5개의 가지 중 중앙과 그 좌우의 3..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8
경주 이재현 초상 경주 이재현 초상 이 초상화의 작자는 알 수없지만 18세기 후반에 제작하여 구강서원에 봉안된 것이라고 전한다. 심의(深意)를 입고 공수자세를 하고 있는 전신 좌상으로, 고려 말에 원나라의 화가인 진감여(陳鑑如)가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익재 초상화를 모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7
경주 척화비 경주 척화비 척화비는 조선 고종 때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이를 온 백성에게 일깨워 주고자 전국의 중요지역에 세우도록 한 비이다. 척화비는 고종 8년(1871) 전국 각지에 세웠다가, 고종 19년(1882)의 임오군란으로 대원군이 청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6
경주 원원사터 출토 석조금강역사입상 경주 원원사터 출토 목조금강역사입상 경주지역에서 산출되는 불석을 깎아 만들었다. 몸에는 가슴을 가로지는 조백(條帛)을 둘렀고, 양 어깨에 걸친 천의는 발목을 감싼 후 대좌까지 드리워져 있다. 천의 끝부분을 소용돌이처럼 장식적으로 묘사하였으나, 짤븡 신체비례 등 전체적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5
국립경주박물관 목조관음보살윤왕좌상 국립경주박물관 목조관음보살윤왕좌상 일제강점기에 부산에 거주하였던 일본인 사업가 가시이 겐타로(香推源太郞 1867~1946)의 소장품을 광복 이후 국립박물관이 압수한 것이다. 그는 경상도 출토품 위주로 우리나라 미술품을 상당수 수집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불상도 그 가운데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