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팔공산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영천 팔공산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수미단 <2015. 7. 18>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5.08.10
칠곡 천주사 전래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칠곡 천주사 전래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이 불상은 1910년 처음 조사될 때 경북 칠곡 가산성의 천주사에 있었다고 한다. 1910년 당시 이 불상의 몸 속에서 나온 복장기에 따르면(현재 전하지 않음), 이 상은 조선 1482년(성조 13) 다밀지의 정수사에서 관음, 지장보살과 함께 삼존으로 제작된 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10.05
영천 은혜사 대웅전 삼장보살탱화 영천 은혜사 대웅전 삼장보살탱화 삼장보살탱화의 상단 중앙에는 천장보살, 그 좌측에는 지지보살, 우측에는 지장보살 세분을 하단에는 각 보살의 협시를 모신 불화이다. 천장보살은 대비력(大悲力)을 지지보살은 지행력(智行力)을 지장보살은 서원력(誓願力)을 표상하는 분이시다. ▲삼..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7.24
영천 은혜사 대웅전 칠성탱화 영천 은혜사 대웅전 칠성탱화 금륜보계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일광 월광의 양대 협시보살과 주변에 칠성이 불교화된 것임을 보여주는 칠여래, 도교적 의미의 칠원성군, 28숙 등이 도설되어 있는 하단탱화이다. ▲칠성탱화 ▲칠성탱화 ▲치성광여래와 일광월광보살 ▲치성광여래 ▲칠성..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7.23
영천 은혜사 대웅전 아미타삼존도 영천 은혜사 대웅전 아미타삼존도 아미타삼존도란 중생을 보살펴 극락으로 인도하는 극락세계의 교주이신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하고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시립하고 있는 그림을 말한다. 은해사 대웅전(지금은 극락보전) 아미타삼존도는 대웅전의 후불도로, 정면을 향한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7.22
영천 은혜사 대웅전 영천 은혜사 대웅전 은해사는 신라 헌덕왕 원년(809)에 혜철국사에 의해 현 운부암 아래 해안평에 해안사로 처음 창건되었으나 조선 인종 원년(1544)에 큰 불로 인하여 소실되었고, 명종 원년(1545)에 천교화상(天敎和尙)이 현 위치로 옮겨 다시 세웠다. 19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웅..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7.21
영천 은혜사 보화루 영천 은혜사 보화루 은해교를 건너면 보화루가 서 잇다. 보화루는 은해사의 대문 구실을 한다. 보화루에서 발길을 머무는 것은 추사 김정희의 글시가 있기 때문이다. 보화루 현판이 바로 그것이다. 은해사에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가 다섯 점 전한다. 문 위의 편액인 은해사, 불당의 대웅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7.20
영천 은혜사 하마비 영천 은혜사 하마비 은해사 일주문을 지나 울창한 송림 사리로 난 길을 다라 들어가면 청통천(淸通川)를 가로지르는 은해교(銀海橋)를 만난다. 은해교를 건너기 직전에 ‘大小人下馬碑’라 새겨진 하마비가 서 있다.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말을 타고 거드름 피우지 말고 내려서 걸어 들..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7.19
영천 팔공산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영천 팔공산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백흥암을 찾는 것은 무엇보다도 극락전의 수미단을 보기 위해서이다. 수미단이란 절의 법당 정면에 상상의 산인 수미산 형태의 단을 쌓고 그 위에 불상을 모시던 대좌를 말한다.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永川 銀海寺 百興庵 須彌壇)은 극락전에 있는..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5.30
영천 팔공산 백흥암 극락전 현왕탱 영천 팔공산 백흥암 극락전 현황탱 백흥암 극락전 한쪽에 걸려있는 현왕탱화이다. 현왕탱이라 함은 사람이 죽어서 3일 만에 만나서 심판을 받게 된다는 지옥의 왕과 그의 권속들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화면 중앙에 관(冠)을 쓰고 양손으로 홀(笏)을 잡고 있는 현왕이 의자에 앉..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14.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