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문화의 여운 - 보령 성주사터 오층석탑 백제문화의 여운 - 보령 성주사터 오층석탑 이번 답사길도 마무리 길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이번 답사의 백미는 이제부터이다. 좀처럼 백제의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은데 그 여운을 느낄 수 있는 답사지가 바로 보령의 성주사터와 부여의 무량사다. 우리의 발길은 절터로만 남아있는 성주..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9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홍성 고산사 삼층석탑 대광보전 앞에 자리한 삼층석탑은 전체높이 218cm로 이중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만들고 상륜부를 얹었다. 하층기단의 네면에는 안상을 조각하였고 기단석과 1층탑신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다. 탑의 모든 부재가 각 하나의 돌로 구성되었고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3..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4
홍성 고산사 석불입상 홍성 고산사 석불입상 대광보전 뒤편 축대 앞에 있는 석불입상은 높이 219cm이며 근래에 만든 연화대 위에 봉안되어 있다. 머리의 형태는 소발이며 육계가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상호는 살이 올라 둥글게 처리되었고 귀는 어깨부분까지 길게 내려왔으며, 목에는 삼도가 뚜렷이 남아있다.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4
홍성 고산사 금동아미타불좌상 홍성 고산사 금동아미타불좌상 고산사 대광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불좌상은 소조불 특유의 섬세함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며 고려후기 양식을 계승, 조선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토속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이 불상의 독특한 특징은 반듯하면서도 당당한 외모와 부드..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3
홍성 고산사 대광보전 홍성 고산사 대광보전 고산사는 신라말 도선국사가 지었다고 전하지만 건물의 위치와 앞 마당에 있는 석탑들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절로 짐작된다. 고산사 대광보전(大光寶殿)은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3
홍성 만해 한용운 사당 홍성 만해 한용운 사당 만해 한용운 선생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독립운동가로도 활동했으며 호는 만해(萬海)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분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체포되어 3년형을 받았다. 일제에 대항하는 단체였던 신간회를 주도적으로 결성하였는데,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3
홍성 만해 한용운 생가 홍성 만해 한용운 생가 승려이고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인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낮은 야산을 등진 양지 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생가가 쓰러져 없어진 것을 1992년에 복원하였다. 가옥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초가인데 양 옆으로 1칸을 달아내어 광과 헛간..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2
홍성 대교리 석불입상 홍성 대교리 석불입상 이 불상은 미래에 나타난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불로 짐작된다. 광경사터의 미륵불이라고 부르고 있어서 이곳에 위치한 고려시대 광경사에 연유하여 고려시대에 건립된 불상으로 보이나 조각된 양식으로 볼 때 조선시대의 불상으로 짐작된다. 직사각형의 화강암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2
홍성 동문리 당간지주 홍성 동문리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시키기 위해 세운 석조물이다. 당간은 절 앞에 세워 부처나 보살의 위엄과 공덕을 표시하고 사악한 것을 내쫓는 의미를 가진 당(幢)이라는 깃발을 다는 깃대이다. 동문동 당간지주는 마주보는 두 석조물 안쪽으로는 아무런 장식이 없지만 바..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2
홍성 홍주성 안회당 홍성 홍주성 안회당 안회당은 홍주목 동헌으로 22칸의 목조기와집이다. 1977년 해체 복원 중에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조선 숙종 4년(1678)에 처음 지어졌고, 고종 7년(1870) 한응필(韓應弼) 목사가 개축하였다고 한다. 이곳 만이 유일하게 동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안회당(安懷堂)'이..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