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문화순례◈/서안문화권 297

중국 서안 비림 달마동도도ㆍ면벽도(达摩东渡图ㆍ面壁图)

중국 서안 비림 달마동도도ㆍ면벽도(达摩东渡图ㆍ面壁图) <비림박물관> '달마동도도(达摩东渡图)'와 '달마면벽도(达摩面壁图)'는 유리에 싸여 '관제시죽' 앞쪽에 있다. 명나라 崇禎年间(서기1628~1644년)의 작품이다. 보리달마(菩提达摩)는 인도의 28대 조사이자, 중국 선종(中國禪宗)의 1대 조사이다. ..

중국 서안 비림 관제시죽(关帝诗竹)

중국 서안 비림 관제시죽(关帝诗竹) <비림박물관> '관제시죽(关帝诗竹)'은 관우가 유비에게 보낸 댓잎으로 쓴 편지를 새긴 비석이다. 청나라 강희55년(1716년)에 제작된 것이다. 不謝東君意(불사동군의) 동군(조조)의 후의에 감사하고픈 마음은 없네 丹靑獨立名(단청독립명) 홀로 붉은 마음으로 청청..

중국 서안 비림 단천자문(断千字文)

중국 서안 비림 단천자문(断千字文) <비림박물관> 張旭이 만취가 된 상태에서 글을 쓰고 깨어나보니 무슨 글을 썼는지 말아보지 못했다는 글씨이다. 장욱은 8세기 전반인 현종(玄宗) 때 활동하였는데, 육간지(陸柬之)의 아들 육언원(陸彦遠)으로부터 ‘간지서법(柬之書法)’을 전수받았고 명기(名..

중국 서안 비림 석대효경(石台孝经)

중국 서안 비림 석대효경(石台孝经) <비림박물관> 석대효경정에는 '碑林(비림)'이라 새겨진 편액이 걸려있다. 청나라 장군 임칙서의 글씨다. 그런데 '비(碑)' 자의 획이 하나 부족하다. 임칙서는 1840년에 일어난 아편전쟁 당시 서안에 왔다가 광동성으로 가는 중에 비림의 현판을 남기면서 전쟁에서 ..

중국 서안 비림 당경운종(唐景云钟)

중국 서안 비람 당경운종(唐景云钟) <비림박물관> 경운종은 영성문 북쪽 정자에 있는데 중국에서는 “천하 제일종”이라 한다. 당 예종 경운 연간에 만들었기 때문에 경운종이라 부르며 청동으로 주물한 것이다. 높이 2.47m, 직경이 1.65m이고 무게가 6톤이다. 종 입구는 6개의 물결선으로 되어 있고, ..

중국 서안 비림 대하석마(大夏石马)

중국 서안 비림 대하석마(大夏石马) <비림박물관> 비림박물관에서 처음으로 만나는 유물이 대하석마(大夏石馬)이다. 국가급문물로 높이 200cm, 길이 255cm이다. 말의 넓적다리 아래에 새겨진 문자, 희미하지만 ‘大夏眞兴六年’ ‘大將軍’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하는 16국시대 흉노족 철불부(鐵弗部) ..

중국 서안 비림박물관(碑林博物館)

중국 서안 비림박물관(碑林博物館) 비림박물관(碑林博物館)은 원래는 공자를 모시는 문묘였는데 송나라의 여대충(呂大忠)이 당나라의 개성석경(開城石經)이 황폐하는 것을 애석히 여겨 문묘의 뒤에 옮기고 현종(玄宗) 황제 어주효경비(御註孝經碑)와 안진경(顔眞卿) ·구양수(歐陽修) ·저수량(褚遂良..

중국 서안 당대명궁유지 인덕전터(麟德殿址, Líndédiàn)

중국 서안 당대명궁유지 인덕전터(麟德殿址, Líndédiàn) 인덕전터((麟德殿址)는 대명궁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로 연회나 외국사절의 접견이 이루어졌던 장소였다. 즉 신라의 원지(안압지)나 조선의 경회루와 같은 곳이었다. 기본적인 배치형태는 三進大殿(前殿, 中殿, 後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