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굽다리접시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굽다리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高杯 唐(618~907) 접시와 굽다리를 접합하여 2차 소성하였다. 내부와 외부에 황, 백, 녹색을 이용하여 반점이 나타나도록 시유하였고 굽다리는 시유하지 않았다. ▲삼채 굽다리접시 ▲삼채 굽다리접시 <2014. 7. 30>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7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세발접시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세발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三足盤 唐(618~907) 壓出三彩기법으로 제작한 원형의 삼채 접시이다. 접시 하단부를 세 개의 다리가 받치고 있다. 접시의 가눙데는 보상화무늬를 촘촘하게 시문하고 황, 목, 백, 갈색 등으로 장식하여 입체감을 더하였다. 이러한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7
서역남로를 떠나며 - 중국 베이징의 맑은 하늘 서역남로를 떠나며 - 중국 베이징의 맑은 하늘 베이징 공항에 도착하니 완전히 아침이 밝아왔다. 하늘도 맑게 개어 마치 한국의 가을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느낌이다. 푸른 하늘 사이로 하얀 뭉게구름이 두둥실 떠 있는 모습이 영락없는 한국의 가을 하늘이다. 비행기 탑승 기간을 기다리..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4.01.27
서역남로를 떠나며 - 중국 베이징의 여명 서역남로를 떠나며 - 중국 베이징의 여명 우루무치 공항으로 돌아온 우리는 탑승 시간에 쫓겨 스넥에 들러서 중국 라면으로 간단히 저녁을 떼우고 베이징으로 출발하였다. 4시간여의 비행 끝에 날짜가 바뀌어 8월 18일 새녁이 되어서야 베이징에 도착하였다. 수화물을 찾아서 가이드를 만..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4.01.27
서역남로를 향하여 - 중국 베이징 수도국제공항(首都国际杭场, Shǒudū Hángcháng) 서역남로를 향하여 - 중국 베이징 수도국제공항(首都国际杭场, Shǒudū Hángcháng) 서역남로로 길을 떠난다. 지난해에는 하서주랑과 서역북로의 일부인 쿠처가지 다녀온 뒤로 서역북로의 나머지 구간과 서역남로에 대한 그리움이 끝내 다시 길을 나서게 만들었다. 김..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3.08.24
漢代 유물 - 중국 성도 '박수' 도용 漢代 유물 - 중국 성도 '박수' 도용 <의성조문국박물관 특별전> 漢(BC206~AD220) / 사천성 성도 / 도기 / 16*10*6cm ▲'박수' 도용 ▲'박수' 도용 <2013. 5. 4>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3.07.04
漢代 유물 - 중국 성도 '이야기를 실은 배' 도용 漢代 유물 - 중국 성도 '이야기를 실은 배' 도용 <의성조문국박물관 특별전> 四川省 成都 後漢(AD25~220) 10*47*13cm 마치 우리내의 마을 풍경을 배 위에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이 작품은 그 시대의 선상에서의 생활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한나라 시대는 조선 기술이 눈에 띄게 발달..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3.07.04
漢代 유물 - 중국 사천성 '신수행렬도' 탑본 漢代 유물 - 중국 사천성 '신수행렬도' 탑본 <의성조문국박물관 특별전> 漢(BC206~AD220) / 사천성 / 탑본 /520*173cm ▲신수행렬도 ▲신수행렬도(부분) ▲신수행렬도(부분) ▲신수행렬도(부분) <2013. 5. 4>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3.07.04
漢代 유물 - 중국 사천성 '수렵도' 화상전 漢代 유물 - 중국 사천성 '수렵도' 화상전 <의성조문국박물관 특별전> 漢(BC206~AD220) / 사천성 / 도기 / 20*35*2cm ▲수렵도 ▲수렵도(부분) ▲수렵도(부분) ▲수렵도(부분) ▲수렵도(부분) ▲수렵도(부분) ▲수렵도(부분) <2013. 5. 4>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3.07.03
漢代 유물 - 중국 사천성 '잡기도' 화상전 漢代 유물 - 중국 사천성 '잡기도' 화상전 <의성조문국박물관 특별전> 漢(BC206~AD220) / 사천성 / 도기 / 20*35*2cm ▲잡기도 ▲잡기도(부분) ▲잡기도(부분) ▲잡기도(부분) ▲잡기도(부분) ▲잡기도(부분) <2013. 5. 4> ◈극동문화순례◈/중화문화권 201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