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무늬대접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무늬대접 <요녕성박물관> 三彩釉菊花文碗 遼(916~1125) ▲삼채 국화무늬대접 ▲삼채 국화무늬대접 ▲삼채 국화무늬대접 ▲삼채 국화무늬대접 ▲삼채 국화무늬대접 ▲삼채 국화무늬대접 ▲삼채 국화무늬대접 <2014. 7. 30>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1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ㆍ구름무늬대접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ㆍ구름무늬대접 <요녕성박물관> 三彩釉菊花雲文碗 遼(916~1125) ▲삼채 국화ㆍ구름무늬대접 ▲삼채 국화ㆍ구름무늬대접 ▲삼채 국화ㆍ구름무늬대접 ▲삼채 국화ㆍ구름무늬대접 <2014. 7. 30>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1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蓮花文花形碟 遼(916~1125)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연꽃무늬 꽃모양접시 <2014.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0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牧丹文海棠花形盤 遼(916~1125)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삼채 모란무늬 해당화모양접시 <2014. 7...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0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연꽃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연꽃무늬 해당화모양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蓮花文海棠花形盤 遼(916~1125) 해당화모양접시는 요나라 삼채의 대표 문양으로 해당화모양접시에 절지모란과 나비무늬, 그리고 구름무늬를 더하여 시문하기도 한다. 황색의 꽃과 초록색의 풀, 파란 하늘과 흰..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0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녹채 큰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녹채 큰접시 <요녕성박물관> 白釉綠彩大盤 遼(916~1125) 홍색의 고운 태토를 사용하였고 백색의 화장토로 도포하였다. 그 위에 백유를 시유하고 내부에 대칭으로 녹채로 시문한 모란꽃을 배치하였다. 문양이 호방하고 거침이 없으며 표현기법이 신선하다. ▲백..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0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녹채 물고기무늬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녹채 물고기무늬접시 <요녕성박물관> 白釉綠彩魚文盤 遼(916~1125) 백유로 시유하였고 전체적으로 빙열氷裂이 있다. 내부 기벽에 물고기 세 마리를 새겨 넣었는데, 선이 간결하면서도 또렷하다. 접시 내부의 꽃을 중심으로 마치 세 마리의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0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녹채 닭볏모양항아리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녹채 닭볏모양항아리 <요녕성박물관> 白釉綠彩鷄冠壺 遼(916~1125) 요나라 유목민족의 정서가 가장 잘 반영된 기형 중의 하나이다. 유목민족이 말을 타고 이동할 때 물 등을 넣어 다니던 가죽주머니를 본떠 만들었다. 손으로 빚어 기형을 만들었고, 백색의 화장..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9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갈채 항아리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갈채 항아리 <요녕성박물관> 白釉褐彩壺 遼(916~1125) 황백색의 태토에 화장토를 도포하고 투명한 유약으로 시유하였다. 유약은 어깨부터 시유하였고 철채로 꽃잎 무늬를 가득 그려 넣었다. 철채는 일반적으로 아름다운 색을 발하여 보석 같은 질감을 표현하는..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9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갈채 닭모양주전자 요삼채 - 중국 선양 백유갈채 닭모양주전자 <요녕성박물관> 白釉褐彩鷄形注子 遼(916~1125) 머리를 치켜들고 우는 듯한 모습이며, 바닥 내부에 구멍이 뚫려 있다. 백색의 화장토를 두루 바르고 청채로 날개와 깃털을 그려넣었다. 송나라와 요나라에서 유행한 기형으로, 섬서성 耀州窯에..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