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고양이모양연적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고양이모양연적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猫形硯滴 遼(916~1125) 좌우 각각 반쪽씩 모형 틀로 찍어내 접합하였고 황, 목, 백색으로 시유하였다. 고양이가 귀를 쫑긋하고 갚을 응시하고 있어 마치 앞의 사물을 덮칠 기세이다. 전체적인 생김새의 표현이 매우 사실적..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3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사각붓걸이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사각붓걸이 <요녕성박물관> 三彩四角筆架 遼(916~1125) 송나라와 요나라 때 흔히 볼수 있는 붓걸이筆架이다. 침대 전체에 휘장을 친 모습으로 내부는 비어있다. 가장자리는 여섯 개의 기둥을 설치하고 좌우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름모무늬, 변형 나비무늬,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3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원앙모양주전자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원앙모양주전자 <요녕성박물관> 三彩釉鴛鴦形注子 遼(916~1125) 물에 떠 있는 원앙을 표현하였다. 등에 나팔모양의 꽃잎으로 구성된 주전자의 입수구가 있고, 주둥이에 출수구가 있다. 날개깃털은 모형 틀로 찍어 만든 것으로 부조와 같은 느낌이지만 입체감이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2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병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병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牧丹文壺 遼(916~1125) ▲삼채 모란무늬병 <2014. 7. 30>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2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닭볏모양항아리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닭볏모양항아리 <요녕성박물관> 三彩釉鷄冠壺 遼(916~1125) 홍색 태토에 백색의 화장토를 도포하였다. 주둥이가 관처럼 길고 관과 몸체 연결부분에 점토를 붙여 목걸이처럼 장식하였다. 전체를 백유로 시유하였는데 바닥은 시유하지 않았다. 목 부분과 몸체에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2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그릇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그릇 <요녕성박물관> 三彩釉暖盤 遼(916~1125) 중국에서는 난반暖盤 또는 난연暖硯이라 블리며, 원래는 바깥과 안쪽 그릇 두 개를 끼워서 사용하는데 소성시에 붙어버린 상태다. 그릇의 용도와 관련해서는 거란족이 따뜻한 물을 담아 사용한 용기라는 설과 안쪽..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2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팔각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팔각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牧丹文八角盤 遼(916~1125) 팔각 받침접시로 모형 틀로 찍어내 만들었다. 가운데 네 잎이 달린 한 송이 모란이 있고 그 주위에는 무양을 서로 대칭으로 배치하였다. 팔각의 기원은 요나라 불교에서 찾을 수 있다. 탑, 무..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2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菊花文花形碟 遼(916~1125)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삼채 국화무늬 꽃모양접시 <2014. 7. 30>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1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대접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대접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碗 遼(916~1125) 미색의 태토에 내부 바닥에 한 송이 절지모란이 시문되어 있고 주변에는 세 송이 작은 꽃이 배치되어 있다. 구연부에는 황색과 녹색의 점을 찍어 여백을 줄이고자 하였다. 대접 내부에는 빙열氷裂이 뚜렷하게 남아 있..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1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반점무늬대접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반점무늬대접 <요녕성박물관> 三彩釉斑點文碗 遼(916~1125) 구연부가 바라져 있고 바닥에는 굽이 있다. 기형은 당나라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유약을 층층이 도포하는 발채기법潑彩技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색이 비교적 자연스럽고, 각각의 색이 조화를 이..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