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풍납토성 출토 수막새(圓瓦當) 서울 풍납토성 출토 수막새(圓瓦當)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막새기와로 건물의 지붕끝을 마감하는 기와로 각종 문양을 새겨 호화롭게 장식했다. 백제시대 기와이지만 새겨진 문양의 의미가 확실하지 않아 기하문으로 부르고 있다. *수막새(圓瓦當, 백제 5세기) *수막새(圓瓦..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7.08.25
서울 풍납토성 출토 항아리(短頸壺) 서울 풍납토성 출토 항아리(短頸壺)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항아리(短頸壺, 백제 4세기) *항아리 빗금무늬 <2007. 8. 2>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7.08.25
서울 풍납토성 출토 깊은바리(深鉢) 서울 풍납토성 출토 깊은바리(深鉢)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깊은바리(深鉢, 백제 2~3세기) <2007. 8. 2>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7.08.25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판비로자나삼존도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판비로자나삼존도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목판으로 인쇄한 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에 있는 비로자나삼존불 그림이다. 본존인 비로자나부처가 지권인을 맺고 있지 않거나 보관을 쓰는 등 전형적인 비로자나부처와는 다른 모습이다. 비로자나부처는 형상을 알 수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7.07.05
국립중앙박물관의 석조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조물 <국립중앙박물관> *장명등 *장명등의 문양 *장명등 *장명등의 문양 *고려 석불 *석불 *석불 *석인상 *석인상 *석양 *석양 * *석양 *석양 <2006. 7. 22>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6.07.30
서울 보신각 종 서울 보신각(普信閣) 종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세조 14년(1468) 원각사(현재 탑골공원)에 걸기 위해 만든 종이다. 절이 없어진 후 여기저기 옮겨 다니다가 광해군 11년(1619) 보신각으로 옮겨져 파루(罷漏, 오전 4시)에 33번, 인정(人定, 오후 10시)에 28번 울려 도성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는 데 쓰였다...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6.07.28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이 석탑은 서울 홍제동 사현사(沙峴寺)터에 있던 탑으로 고려 정종 11년(1045) 사현사 창건 당시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으면서도 온화하고 부드러운 새김법과 새롭게 유행한 탑신받침의 덧붙임, 그리고 벽 테두리 장식 등에서 고..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6.07.24
서울 창덕궁 연경당 서울 창덕궁 연경당 *연지와 연경당 전경 *장락문과 외행각 *장양문과 내행각 *장양문 *수인문 *남행각(내행각) *사랑채(연경당) *연경당 누마루 부분 *쪽문 *선향재 *선향재 *선향재 옆면 *선향재 옆면의 문 양 *선향재의 천정 *선향재 천정의 도르래 *농수정 *안채 *안채와 사랑채 *서행랑 *불로문 <2006.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6.01.21
서울 창덕궁 부용지 서울 창덕궁 부용지 *부용지와 부용정 *부용지와 사정기 비각 *부용지와 부용정 *부용지의 물고기 조각 *부용지에서 바라본 주합루 *주합루 *어수문 *주합루 *영화당 <2006. 1. 14>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6.01.21
서울 창덕궁 서울창덕궁 *돈화문 *금천교 *금천교 아치 *금천교 도깨비 문양 *금천교 석수 *진선문 *인정전 *인정전 돌계단 *인정전 처마 *인정전 처마 *인정전 *인정전 *월대 *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희정당 *희정당 지붕 합각 *영자 문양 *화계 *대조전 *대조전 지붕 잡상 *화계 <2006. 1. 14>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06.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