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보신각(普信閣) 종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세조 14년(1468) 원각사(현재 탑골공원)에 걸기 위해 만든 종이다. 절이 없어진 후 여기저기 옮겨 다니다가 광해군 11년(1619) 보신각으로 옮겨져 파루(罷漏, 오전 4시)에 33번, 인정(人定, 오후 10시)에 28번 울려 도성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는 데 쓰였다. 하나의 몸체에 양쪽으로 용머리가 달린 장식 고리(龍紐)가 달려 있으며, 몸통 한가운데는 세 겹의 굵은 띠가 둘러져 있는데, 이러한 종 모양은 고려 말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들어와 널리 만들어진다.
*보신각 종
*보신각 종 용뉴
*보신각 종 명문
<2006. 7. 22>
'◈한국문화순례◈ > 한양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판비로자나삼존도 (0) | 2007.07.05 |
---|---|
국립중앙박물관의 석조물 (0) | 2006.07.30 |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 (0) | 2006.07.24 |
서울 창덕궁 연경당 (0) | 2006.01.21 |
서울 창덕궁 부용지 (0) | 2006.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