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를 찾아서 - 서울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탁본 추사를 찾아서 - 서울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탁본 <예산추사기념관> 북한산 진흥왕순수비는 신라 24대 진흥왕이 553~554년 백제를 물리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568년 이후에 세웠다. 이후 도선국사나 무학대사비로 잘못 알려져 왔다. 그러나 김정희에 의해 순..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1.12.27
서울 간송미술관 소장 미인도 서울 간송미술관 소장 미인도 비단에 담채, 113.9*45.6cm, 신윤복 ▲미인도 <2011. 11. 30>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1.09.25
국립전주박물관 고종어진 국립전주박물관 고종어진 <국립전주박물관, 복제품> 채용신은 고종의 총애를 받아 1902년 고종어진을 제작하였고, 이에 고종은 그에게 '석강(石江)'이라는 호를 친히 내려주었다. 이 고종어진의 밑그림을 바탕으로 채용신이 여러 모사본을 제작했던 사실이 기록에 전한다. 이 작품 역시 그 중 하나..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1.04.1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기하무늬 수막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기하무늬 수막새 <국립중앙박물관> ▲기하무늬 수막새(조선시대) <2010. 10. 17>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12.3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조 어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조 어진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임금인 영조(재위 1724∼1776)의 초상화이다. 영조는 심각한 당파싸움에 대하여 탕평책을 실시하고,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여 사회를 안정시켰으며 스스로 학문을 즐겨 문예 부흥기를 이루었다. 이 그림은 51세 때 모습을 그린 것으로, 가로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12.2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달마대사 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달마대사 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종이에 채색 중국에 불교를 포교한 인도 출신의 승려이다. 인도의 28대 조사이자, 중국 선종(中國禪宗)의 1대 조사이다. 보디다르마(산스크리트어: बोधिधर्म, 중국어 정체: 菩提達摩, 병음: Pútídámó)의 음역으로, 보통 달..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12.28
서울 삼양동 출토 금동관음보살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 서울 삼양동 출토 금동관음보살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 <국립중앙박물관> 보살이 쓴 보관 중앙에 화불이 새겨져 있고, 정병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로 여겨진다. 6세기까지만 해도 관음보살의 도상은 확립되지 않았다. 그러나 7세기 전반 즈음에는 화불과 정병을 갖춘 독존상이 등장하게 된다. 이 관..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10.31
조선왕릉 순례 - 서울 중종 정릉(靖陵) 조선왕릉 순례 - 서울 중종 정릉(靖陵) 조선 11대 중종(中宗, 1488~1544)의 능이다. 중종은 성종의 둘째 아들로 1494년 진성대군에 봉해졌다. 진성대군은 1506년 반정을 일으켜 연산군을 몰아낸 뒤 왕으로 추대되었다. 왕위에 오른 중종은 연산군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고 새로운 왕도정치를 실..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02.04
조선왕릉 순례 - 서울 성종 선릉(宣陵) 조선왕릉 순례 - 서울 성종 선릉(宣陵) 조선시대의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尹氏)의 능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다. 부부이기에 같은 능호를 사용하면서 단릉처럼 다른 언덕에 능을 조성한 동원이강 양식을 따르고 있다. 1495년(연산군 1)에 조성되었다. 1530년(중종 25) 정현왕후 윤씨가 ..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02.04
조선왕릉 순례 - 서울 순조 인릉(仁陵) 조선왕릉 순례 - 서울 순조 인릉(仁陵) 조선왕조 제23대 임금인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金氏)의 능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다. 1834년 순조가 죽자 파주 교하의 장릉(長陵) 국내(局內)에 초장(初葬)했다가 풍수지리상 불길하다는 이유로 1856년(철종 7) 지금의 자리인 헌릉(獻陵) 오.. ◈한국문화순례◈/한양문화권 201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