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고달사터 귀면문수막새(鬼面紋圓瓦當) 여주 고달사터 귀면문수막새(鬼面紋圓瓦當) <여주향토사료관특별전> ▲귀면문수막새(鬼面紋圓瓦當, 고려시대) 경기도박물관 소장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10
여주 고달사터 귀목문수막새(鬼目紋圓瓦當) 여주 고달사터 귀목문수막새(鬼目紋圓瓦當) <여주향토사료관특별전> ▲귀목문수막새(鬼目紋圓瓦當, 고려시대) 경기도박물관 소장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10
여주 원향사터 귀목문암막새(鬼目紋平瓦當) 여주 원향사터 귀목문암막새(鬼目紋平瓦當) <여주향토사료관> 원향사는 사자산문과 관련된 선종계 사찰로 8세기 중반무렵에 처음 세워진 후 진성여왕과 지방호족들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아 10세기 무렵인 고려초에 대규모의 불사를 통해 사세를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 영월 흥령사지 징효..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10
여주 내양리 긁개(削器) 여주 내양리 긁개(削器) <여주향토사료관> ▲긁개(削器, 구석기시대) 짐승을 사냥한 다음 가죽을 벗겨 이를 손질하는데 사용한 석기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10
여주 내양리 몸돌(石核) 여주 내양리 몸돌(石核) <여주향토사료관> 제작원재인 석괴(石塊)의 주위를 두들겨 격지를 떼어낸 다음 다시 이 격지를 세부적으로 가공하여 격지석기를 제작한다. 이 격지를 만들기 위하여 많은 격지를 데어낸 다음의 나머지 돌을 몸돌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석기로 사용할 때에는 몸돌석기라고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10
여주 내양리 찍개(單面器) 여주 내양리 찍개(單面器) <여주향토사료관> ▲찍개(單面器, 구석기시대) 자갈돌을 한쪽 방향에서만 타격을 가하여 격지가 떨어져 나간 면과 원래의 자갈돌면이 날을 이루는 석기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9
여주 내양리 여러면석기(多面石器) 여주 내양리 여러면석기(多面石器) <여주향토사료관> ▲여러면석기(多面石器, 구석기시대)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9
여주 백자리 여러면석기(多面石器) 여주 백자리 여러면석기(多面石器) <여주향토사료관> ▲주먹도끼(多面石器, 구석기시대)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9
여주 가야리 주먹도끼(兩面核石器) 여주 가야리 주먹도끼(兩面核石器) <여주향토사료관> ▲주먹도끼(兩面核石器) ▲주먹도끼(兩面核石器, 구석기시대) 주먹을 쥐고 쓸 수 있는 도끼의 형태로 짐승을 사냥하거나 털과 가죽을 분힐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2010. 1.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9
여주 계신리 마애불입상 여주 계신리 마애불입상 경기도 여주군 홍천면 계신리 ‘부처울’이라 불리는 마을의 자연 암벽에 조각된 마애여래입상이다. 원만한 얼굴에 희미한 미소를 띠고 있으며, 귀는 어깨에 닿을 듯이 길게 표현하였다. 양 어깨에 두른 옷은 양 팔을 거쳐 발목까지 이어지고 있다. 옷에는 완만한 U자형 주름이..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