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심곡리 출토 주먹도끼(兩面核石器) 강릉 심곡리 출토 주먹도끼(兩面核石器) <국립춘천박물관>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에 위치해 있는 전기구석기시대의 유적이다. 1984년 한 차례 발굴이 실시되어 약 100여 점의 석기가 수습되었다. 해발 약 80m 높이의 해안단구 윗면에 유적이 형성되어 있는데, 유적에서 채집된 꽃가루를 분석한 결과 소..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21
동해 삼화동 출토 은제도금타출화조문팔찌 동해 삼화동 출토 은제도금타출화조문팔찌 <국립춘천박물관> *은제도금타출화조문팔찌(고려 12세기) <2007. 5. 20>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6
동해 삼화동 출토 백자접시 동해 삼화동 출토 백자접시 <국립춘천박물관> *백자접시(고려 11~12세기) *백자접시 <2007. 5. 20>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6
동해 삼화동 출토 백자정병 동해 삼화동 출토 백자정병 <국립춘천박물관> *백자정병(고려 11~12세기) <2007. 5. 20>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6
영월 창령사터 출토 '蒼嶺'銘 명문와 영월 창령사터 출토 '蒼嶺'銘 명문와 <국립춘천박물관> 창령사터는 초로봉(해발 약 570m) 동북쪽 경사면의 해발 약 400m 정도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곳에서는 두 차례에 걸친 발굴에 의해 500나한의 일부로 추정되는 나한상과 기와류, 도자기류, 철제류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일부 기와조각에..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5
영월 창령사터 나한상 영월 창령사터 나한상 <국립춘천박물관> 영월 창원리(蒼院里) 창령사터(蒼嶺寺址)에서 출토된 이 나한상은 발굴된 수량으로 미루어 오백나한상으로 추정된다. 조각 수법으로 볼 때 나한상은 고려후기에서 조선초기로 이어지는 불상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함께 출토된 기와, 자기류 등이 16세기..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5
강릉 한송사터 금동아미타여래입상 강릉 한송사터 금동아미타여래입상 <국립춘천박물관> *금동아이타여래입상(통일신라 8세기) <2007. 5. 20>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5
태백 본적사터 출토 사자무늬수막새(獅子文圓瓦當) 태백 본적사터 출토 사자무늬수막새(獅子文圓瓦當) <국립춘천박물관> 사자문(獅子文)수막새는 신령스러운 동물로 근동지방에서 고귀한 왕의 신분으로 상징되었으며 불교에서는 불법의 수호자로 신앙되고 있다. 수막새에 장식되고 있는 사자문은 입상(立像)과 좌상(坐像)으로 구분되는데 입상의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5
태백 본적사터 출토 연꽃무늬서까래기와(蓮花文椽木瓦) 태백 본적사터 출토 연꽃무늬서까래기와(蓮花文椽木瓦) <국립춘천박물관> 연목와(椽木瓦)는 둥글고 긴 연목 끝에 사용되는 기와로 수키와가 부착되지 않은 수막새와 거의 유사한 원형의 기와이다. 그러나 연목기와는 주연부가 생략되어 있으며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자방에 못구명이 뚫려있다.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5
양양 진전사터 출토 물고기무늬암키와(魚文平瓦) 양양 진전사터 출토 물고기무늬암키와(魚文平瓦) <국립춘천박물관> 겹 마름모 무늬와 물고기무늬를 얕게 돋을 새김하였다. 물고기무늬의 꼬리지느러미를 살짝 휘어지게 새겼다. 생동감이 엿보인다. *물고기무늬암기와(魚文平瓦, 통일신라 8~9세기) *물고기무늬(魚文) <2007. 5. 20>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