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금장대 사리공양석상 경주 금장대 사리공양석상 <국립경주박물관> 둥근 돌기둥에 사리를 공양하는 장면을 새긴 것으로 당시의 사리공양 의식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중앙에 침상이 있고 시트 같은 밭침 위에 연꽃 받침을 놓고 그 위에 유리잔을 놓았으며, 유리잔 안에는 캇트글라스 기법으로 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8
경주 금장대 거북무늬석상 경주 금장대 거북무늬석상 <국립경주박물관> 거북무늬석상은 경주 서천가의 금장대에서 발견되었다. 2011년 금장대복원 공사를 위해 발굴하는 도중 조선시대 건물터의 주춧돌 자리에서 인물상이 새겨진 사리공양석상과 함께 출토되었다. 거북무늬석상은 아직까지 비슷한 예가 발견..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7
경주 낭산 능지탑 소조불상편 경주 낭산 능지탑 소조불상편 <국립경주박물관> 낭산 능지탑 출토 통일신라 7세기 후반 경주 낭산 서쪽의 능지탑으로 알려진 곳에서 출토된 소조불상의 파편들이다. 이곳은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발굴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이 유적의 평면은 네모난 구조였고, 네 면에 각각 흙으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7
경주 교동 석사자상 경주 교동 석사자상 <국립경주박물관> 石獅子像 통일신라시대 사자는 백수의 왕으로 신성함과 절대적인 힘, 위엄을 나타낸다. 이 사자상은 원래 어디에 세워졌던 것인지 알 수 없으나, 발견된 곳이 교동이기 대문에 신라 궁성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다. 교동 근처의 춘양교터, 월정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4
경주 인왕동 '東宮衙'명 항아리 경주 인왕동 '東宮衙'명 항아리 <국립경주박물관> '東宮衙'銘壺 경주박물관 남측부지우물 출토 ▲'東宮衙'명 항아리 ▲'東宮衙'銘 <2013. 12.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4
국립경주박물관 석조약사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석조약사여래좌상 통일신라 후기에는 중생이 처한 고난을 없애준다는 불교의 약사불 신앙이 유행하여 많은 수의 약사불상이 만들어졌다. 약사불상은 왼손에 약그릇을 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이처럼 오른손으로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을 맺는 자세는 다른 날에서..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3
경주 서악동 신장상문비석 경주 서악동 신장상문비석 <국립경주박물관> 神將像門扉石 통일신라시대 서악동 돌방무덤에서 출토된 돌문이다. 문에는 천정과 바닥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가 만들어져 있다. 앞 뒷면에는 신장상이 돋을새김 되어 있다. 머리 뒤에 두광이 있고, 하체에만 군의를 입고 있다. 손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3
경주 인왕동 타원형막새 경주 인왕동 타원형막새 <국립경주박물관> 橢圓形瓦當 경주박물관 남측부지 건물터 출토 ▲타원형막새 ▲타원형막새(부분) <2013. 12.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2
경주 인왕동 용얼굴무늬기와 경주 인왕동 용얼굴무늬기와 <국립경주박물관> 龍面文瓦 경주박물관 남측부지 출토 ▲용얼굴무늬기와 ▲용얼굴무늬기와(부분) <2013. 12.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12
경주 감은사터 보상화무늬수막새 경주 감은사터 보상화무늬수막새 <국립경주박물관> 寶相華文圓瓦當 통일신라시대 ▲보상화무늬수막새 ▲보상화무늬수막새 <2013.12.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