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잔ㆍ받침접시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잔ㆍ받침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盞ㆍ盤 唐(618~907) 7개의 잔과 1개의 받침접시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5~7개의 잔이 놓인다. 무덤에 부장되었던 명기로 실제 생활용기를 재현해 놓은 것이다. 중국 당나라 때 유행한 양식으로 당시 제작된 도자의 수준을 보여..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7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훈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훈 <요녕성박물관> 三彩釉塤 唐(618~907) 훈은 중국 신석기시대부터 만들어진 전통악기이다. 그 형태는 배, 물고기, 공모양 등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사용된 재료는 흙, 돌, 옥, 나무, 상아 등이며, 후대에는 주로 토제로 만들었다. 이 훈은 맷돼지 형상으로 털이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7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굽다리접시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굽다리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高杯 唐(618~907) 접시와 굽다리를 접합하여 2차 소성하였다. 내부와 외부에 황, 백, 녹색을 이용하여 반점이 나타나도록 시유하였고 굽다리는 시유하지 않았다. ▲삼채 굽다리접시 ▲삼채 굽다리접시 <2014. 7. 30>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7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세발접시 당삼채 - 중국 선양 삼채 세발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三足盤 唐(618~907) 壓出三彩기법으로 제작한 원형의 삼채 접시이다. 접시 하단부를 세 개의 다리가 받치고 있다. 접시의 가눙데는 보상화무늬를 촘촘하게 시문하고 황, 목, 백, 갈색 등으로 장식하여 입체감을 더하였다. 이러한 ..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17
중국 길림성 장춘시(長春, Changchun) 중국 길림성 장춘시(長春, Changchun) 중국 지린 성[吉林省]의 성도이며 지구급(地區級) 시로 4개 현(縣)을 관할한다. 창춘 주변지역은 원래 군사단위인 몽골 기(旗)의 방목지였다. 1791년 청(淸)나라 조정은 몽골 군주에게 이 지역을 중국인 이주민들에게 개방할 것을 요구했으며 마침내 승인을 얻었다. 그결..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1.10.16
중국 길림성 길림시(吉林, Jilin) 중국 길림성 길림시(吉林, Jilin) 중국 지린 성[吉林省]에 있는 도시이다. 성의 명칭과 도시의 이름이 같다. 지구급(地區級) 시로, 1970년대초 이전의 융지[永吉] 지구를 망라하면서 영역이 더 넓어졌다. 쑹화 강[松花江] 상류의 왼쪽 기슭에 있으며 주변은 구릉지대로 둘러싸여 있다. 지린 성..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1.10.16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협천대제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협천대제 ▲협천대제 ▲협천대제 ▲협천대제 편액 ▲협천대제 ▲협천대제 <2011. 8. 6>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1.10.15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복우대동전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복우대동전 ▲복우대동전 ▲복우대동전 ▲종루 ▲종루 ▲고루 ▲고루 ▲괘불지주 <2011. 8. 6>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1.10.15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불광보조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불광보조 ▲불광보조전 ▲불광보조 편액 ▲불광보조 <2011. 8. 6>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1.10.15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미륵존불 중국 길림시 용담산 용봉사 미륵존불 ▲미륵존불전 ▲미륵존불전 ▲미륵존불 <2011. 8. 6>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1.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