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은 남한강(南漢江) 상류(上流)의 강가 높은 토단 위에 건립(建立)된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유일한 7층의 거탑(巨塔)으로 높이 14.5m이다. 이 탑이 건립된 지점이 우리나라의 거의 중앙이라고 하여 속칭 중앙탑이라고 부른다. 이 탑은 1917년에 해체 보수되었는데, 이때의 잘못으로 원형(原形)과 달라진 부분이 많아졌다. 현재의 모습은 기단(基壇)은 2중(二重)이고, 상하 각각 10여 매의 장대석(長臺石)으로 구성되어, 각 면에는 3주(三柱) 혹은 4주(四柱)씩의 탱주(撑柱)가 있으나 간격이 고르지 않은 것은 수리 때의 잘못으로 보인다.
넓은 기단의 위아래 면석에는 우주(隅柱)와 4개의 탱주(撑柱)를 모각했고, 상층 갑석 밑에는 부연(附椽)을 마련했다. 갑석(甲石) 상면의 받침은 하층기단(下層基壇)에는 각형(角形)과 호형(弧形)의 2단이고, 상층기단(上層基壇)에는 각형(角形) 2단이어서 신라(新羅) 석탑(石塔)의 전형(典型) 양식을 지키고 있다. 탑신부(塔身部)는 5층까지는 탑신석(塔身石)과 옥개석(屋蓋石)이 각각 여러 개의 석재(石材)로 구성되었고, 6층부터는 한개의 돌로 되어 있다. 각층 탑신석에는 우주형(隅柱形)이 있고 옥개석 받침수는 각층 5단씩이다. 옥개석 윗면에는 옥신을 받치기 위한 2단 굄을 두어 신라 석탑의 특징을 잘 나타냈다. 낙수면은 완만하게 하고 추녀는 수평으로 만들어 웅장하면서도 날렵한 균형미를 이루고 있다.
상륜부는 다른 탑들과 달리 노반(露盤)이 2중으로 중첩되어 있어 특이하며, 그 위에는 복발(覆鉢)과 앙화(仰花)가 얹혀 있다. 이 석탑을 해체할 때 6층 탑신석과 기단에서 각각 고려시대(高麗時代) 거울을 비롯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가 발견되었다. 탑신부에서는 2점의 동경·목제칠합(木製漆盒)·은제사리합(銀製舍利盒), 기단부에서는 청동제유리개합(靑銅製琉璃蓋盒)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신라시대 석탑 중에서 탑 안 2곳에 사리를 장치한 예는 매우 드물며, 발견된 동경이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이 석탑은 창건 후 2차에 걸친 사리납치(舍利納置)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 주변에서 기와편이 발견되고, 석탑 앞에는 석등의 하대석으로 추정되는 8각연화대석(八角蓮花臺石)이 있어 이 일대를 사지(寺址)로 추정하고 있으나 기록이 없어 단언하기는 어렵다.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
▲탑신부
▲기단부
▲상륜부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
▲탑평리 칠층석탑
▲석등대석
<2008. 5. 11>
'◈한국문화순례◈ > 중원서원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 용탄동 절터 출토 석조인물상군 (0) | 2008.07.09 |
---|---|
음성 덕정리 출토 금동불입상 (0) | 2008.07.09 |
충주 성불사 석불좌상 (0) | 2008.07.03 |
충주 대전리 문인석 (0) | 2008.07.03 |
충주 봉황리 석탑재 (0) | 2008.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