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가평리 출토 두드림무늬토기항아리(打擦文土器壺) 양양 가평리 출토 두드림무늬토기항아리(打擦文土器壺) <국립춘천박물관> *두드림무늬토기항아리(打擦文土器壺, 초기철기시대) <2007. 9. 2>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10.16
양양 선림원터 석등 양양 선림원터 석등 이 석등은 4매석으로 된 네모난 지대석 위에 상,중,하대를 모두 갖추어 건립된 8각의 신라시대 기본형 석등이다. 8각의 하대 앞면에는 각각 안상이 음각되고, 그 위 복련에는 귀꽃 치장이 뚜렷이 새겨졌으며, 복련 윗면에 구름무늬와 1단의 높은 괴임을 새겨냈다. 간석은 중간부분에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10.15
양양 선림원터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터 홍각선사탑비 이 비는 홍각선사의 부도탑비로서 현재 귀부와 이수만 남아있으며 비신 그 잔편만이 경복궁에 보관되어 있다. 홍각선사에 대하여는 잘 알려진 바가 없고 다만 경사(經史)와 불경에 밝아 문도가 많았다고 전해질 뿐이다. 귀부의 머리는 직립한 일반형이고 귀갑문은 6각이다..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10.14
양양 선림원터 부도 양양 선림원터 부도 선림원터 부도는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파괴되었던 것을 1965년에 각 부재를 수습하여 복원한 것으로 지금은 기단부만 남아 있다. 원 위치는 뒷산 중턱의 50m쯤 올라간 곳이다. 네모난 지대와 8각의 하대까지가 같은 돌로 2매로 구성되었는데 지대 부분은 땅 위에 드러난 부분만 다듬..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10.13
양양 선림원터(禪林院址) 삼층석탑 양양 선림원터(禪林院址)삼층석탑 선림원은 804년 경에 창건되어 홍각선사가 번창시킨 사찰로 당대 최고 수준의 선수련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대규모의 절로 자리잡고 있었으나 10세기 전후에 대홍수와 산사태로 매몰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선림원이 자리잡고 있는 미천골은 사찰이 번성..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10.12
영월 사자산 법흥사(獅子山法興寺) 영월 사자산 법흥사(獅子山法興寺) 통일신라 말기 9산선문 중 사자산문의 중심도량인 법흥사(法興寺)는 흥령선원의 옛터이다. 자장율사가 이 절을 창건했으며, 도선국사와 징효국사 때 크게 산문이 번성하였다. 그러나 진성여왕 4년(891) 병화로 소실되었고, 고려 혜종 1년(944)에 중..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9.01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은 전체 높이가 3.5m에 이르는 고려시대의 마애좌불상인데, 암벽 위에 높은 부조로 불상을 새겼다. 살이 찌고 둥근 얼굴에 눈, 코, 입, 귀가 큼직큼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불상이 입고 있는 법의는 두꺼워 신체의 굴곡이 드러나지 않는다. 상체에 비해 하체..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8.31
영월 서강 한반도 지형 영월 서강 한반도 지형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굽이쳐 흐르는 평창강의 물줄기가 태기산에서 발원하는 주천강과 만나는 영월군 서면 새내에서 서강을 이루기 직전 옹정리 선암마을을 굽이쳐 흐르며 우리땅을 그대로 복원하듯 한반도 지형을 만들어 놓았다. 동쪽은 깎아지른 절벽, 서쪽과 남쪽은 경사진..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8.30
영월 서강 선돌(立石) 영월 서강 선돌(立石) 선돌은 영월읍 방절리 서강 안에 절벽을 이룬 곳에 위치해 있는데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개 내리다 그친 듯한 형상을 이룬 입석을 말한다. 이 입석의 바로 앞에 우뚝선 거암은 신비로울 뿐만 아니라 절벽과 입석사이로 내려다 보이는 강물은 마치 한폭의 수묵화를 보는 것 같은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8.30
영월 장릉(莊陵) 영월 장릉(莊陵) 장릉(莊陵)은 조선 6대 임금 단종의 능이다. 세조 3년(1457) 6월 집현전 학사 성삼문, 박팽년 등이 상왕복위사건으로 참형을 당한 6월 21일 단종은 상왕에서 노산군으로 강봉되었고 그 다음날 영월 청령포로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 2개월 남짓 기거하던 중 홍수로 인하여 관풍헌으로 옮겼..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07.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