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풍기 출토 금동용형당간두(金銅龍形幢竿頭) 영주 풍기 출토 금동용형당간두(金銅龍形幢竿頭) <국립대구박물관> 당간(幢竿) 또는 보당(寶幢)이란 절에서 법회 등 큰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나 법당 앞에 세워 번(幡)이라는 장엄적인 깃발을 달았달았던 장대이다. 당간은 보통 두 개의 긴 돌을 세워 지주로 삼고, 그 사이에 나무나 철로 만든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1.12
안동 옥동 출토 금동반가사유상 안동 옥동 출토 금동반가사유상 <국립대구박물관> *금동반가사유상(신라 7세기 작) *금동반가사유상 <2007. 1. 5>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1.09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 돌사자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 돌사자 <국립대구박물관> 이 사자상은 의성군 관덕동에 있는 삼층 석탑의 상층기단 네 모퉁이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원래는 네 곳에 각각 있었다고 전한다. 지금도 이 삼층석탑을 '사자탑(獅子塔)' 이라고 부른다. 한 마리의 사자는 앞다리를 세우고 머리를 약간 돌림 수사자..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7.01.07
청송 청운동 성천댁 청송 청운동 성천댁(星川宅) 이 가옥은 뒷편에 산이 있고 앞에는 물이 흐르는 터에 자리잡고 있으며, 평면구성은 산간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폐쇄형의 'ㅁ'자형이다. 2칸 대청의 좌우에 사랑방과 뒷방, 큰방이 배치되고 대청의 앞채에는 부엌, 고방, 외양간이 배치되었는데 작은 규모이며 안마당이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7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草田宅) 이 건물은 청송심씨 석촌공파 17세손인 심덕활(沈德活) 공인 요절한 아우 덕종(德宗)의 양자로 입적한 친아들 헌문(憲文)의 네번째 돌을 기념하여 순조 6년(1806)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그후 21세손인 선해(宣海)가 1900년에 보수하여 세거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ㄷ'자형..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7
청송 덕천마을 송소고택 청송 덕천마을 송소고택 청송의 덕천마을은 청송심씨가 많이 사는 마을로 심씨 족보상 기록에는 1400년 경부터 살아온 기록이 있으며 1050년 경에는 청송 심씨가 110여호, 아산 장씨가 25호, 기타 성이 10여호로 인구수가 900여명에 달하는 큰 마을이었다고 한다. 송소고택은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6
청송 주왕산 1, 2, 3 폭포 청송 주왕산 1, 2, 3 폭포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1폭포 *제1폭포 *제1폭포 *제1폭포 *제1폭포 주변의 비경 *제2폭포 가는 길 *제2폭포 가는 길 *제2폭포 *제2폭포의 상폭 *제2..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5
청송 주왕산 기암(奇岩) 청송 주왕산 기암(奇岩) *주왕산의 비경 *연화봉 *연화봉 주변의 비경 *병풍바위 *촛대바위 *주왕산의 비경 *주왕산의 비경 *주왕산의 비경 *주왕산의 비경 *주왕산의 비경 *연화봉 *연화봉 *연화봉 *연화봉 *주왕산의 비경 *병풍바위 *병풍바위 *주왕산의 비경 *주왕산의 비경 *급수대 신라 37대 왕인 선덕..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5
청송 주왕산 기암(旗岩) 청송 주왕산 기암(旗岩) 주왕산을 찾아가면서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바위가 바로 기암이다. 기암은 주왕산 산세의 특이함을 대표하는 바위로서 주왕이 신라의 마일성 장군과 치열한 접전을 벌일 때 이 바위를 마치 노적가리처럼 보이게 해 적을 물리쳤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기암은 원래 폭 150m..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4
청송 주왕산 자하성 청송 주왕산 자하성(紫霞城) 이 곳 자하성은 주왕(신라시대의 왕인지, 중국 당나라의 왕인지 정확한 사료가 없어 알 수 없음)이 신라 군사를 막기 위해 대전사 동편 주왕암 입구에서 나한봉에 걸쳐 가로막은 돌담으로 길이가 약 30여리(12km)에 달하였다고 한다. 이 성은 주왕굴을 중심으로 사방을 방어할..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06.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