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안흥성 태안 안흥성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해안의 안흥마을 뒷산에 있는 산성으로, 본래 ‘안흥진성’이었으나 보통 안흥성이라 부르고 있다. 이 곳은 조선시대 중국에서 오는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며, 또한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했다. 성의 둘레는 약 1500m이고, 성벽의 높이는 3∼4m이다. 조선 효종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5
태안 흥주사 태안 흥주사 흥주사 창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전설에 따르면 222년(구수왕 9)에 흥인조사(興仁祖師)가 창건하였다 하나 역시 신뢰성은 떨어진다. 한편으로는 조선시대 백화산성(白華山城) 내 군영사찰로 1417년 산성과 함께 창건된 것으로 보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두 설 모두 정확한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5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비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비 법인국사의 탑비이며 고려 경조 3년(978)에 경종의 지시로 세워졌다. 비몸 높이 230cm, 폭 115cm, 글자 수 5,000여자나 되는 거비이며 국공(國工)을 파견하여 이들이 세우게 했다. 법인국사는 신라말~고려초의 고승으로 법호는 탄문(坦文)이다. 비문의 내용은 탄문의 일대기..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4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 법인국사보승탑은 탑비와 함께 금당터 뒤에 나란히 서 있는 팔각원당형의 부도이다. 기단부가 땅속에 뭍혔던 것을 1962년도에 조사하여 기단부의 구조가 밝혀졌다. 이 부도는 4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지대석위에 8각형의 기단부와 탑신부를 형성하고 그위에 상륜부를 세..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4
서산 보원사터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터 오층석탑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고려초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이다. 목조탑파에서 석조탑파로 변환되는 과정의 양식이며 아래층 기단에 사자상을, 윗층 기단에 팔부신중상을 새긴 것이 특이하다. 팔부신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3
서산 보원사터 석조 서산 보원사터 석조 화강석의 돌을 파서 만든 것으로 절에서 물을 담아 쓰던 용기이다. 안쪽과 윗쪽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은 거칠게 다듬은 것으로 보아 땅에 묻어두고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아 간결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거대한 크기로 인해 웅장한 느낌을 주고 있다. 내..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3
서산 보원사터 당간지주 서산 보원사터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석조물이다. 당간은 절 앞에 세워 부처나 보살의 위엄과 공덕을 표시하고, 사악한 것을 내쫓는 의미를 가진 당이라는 깃발을 다는 깃대이다.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의 위치에 놓여있다. 마주보고..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3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류에 의하여 사빈으로 운반된 모래가 파랑에 의하여 밀려 올려지고, 그곳에서 탁월풍의 작용을 받은 모래가 낮은 구릉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되는 지형을 말한다. 신두리 해안사구는 태안반도 서북부의 바닷가를 따라 형성된 길이 약 3.4㎞, 폭 약 0.5∼1.3㎞의 모래언..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2
태안 몽산리 석조여래좌상 태안 몽산리 석조여래좌상 몽산리 석조여래좌상은 태안군 청계산 기슭에 위치한 죽사(竹寺)의 절터에 있으며 전체 높이는 1.03m이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 입고 있으며, 양 발을 무릎 위로 올려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으며, 왼손은 왼쪽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8.01
태안 남문리 오층석탑 태안 남문리 오층석탑 태안 남문리 오층석탑은 기단부는 신라, 탑신부는 백제의 기법이 가미되어 있는데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탑이 위치하고 있는 이곳은 탑골로 불리고 있으며, 주변에서 기와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단층의 기단부 위에 세워져 있으며,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0.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