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보원사터 오층석탑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고려초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이다. 목조탑파에서 석조탑파로 변환되는 과정의 양식이며 아래층 기단에 사자상을, 윗층 기단에 팔부신중상을 새긴 것이 특이하다. 팔부신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에 걸쳐 석탑의 기단에 많이 나타난다. 기단부에 우주와 탱주를 세웠고 탑신부 1층 밑에 받침돌 한 장을 끼워 넣은 것과 옥개석의 물매가 평활하며 끝이 살짝 들어 올려진 것 등이 백제계 양식이다. 탑신에서는 1층 몸돌 각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얇고 넓은 편으로 온화한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옥개석 받침을 4층으로 한 것은 신라계 양식을 가미한 것으로 백제지역에 신라 이후 세워지는 석탑의 공통된 양식이다.
이 탑은 전체적으로 미려하고 경쾌하며 안정감이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석과 긴 찰주만 남아있지만 1945년 광복 전까지 아름다운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수연, 용차, 보주 등의 부재가 완전하게 있었다고 한다. 1968년 해체 복원시 사리 내갑(內匣) 외갑, 사리병 납석소탑 등이 출토되어 부여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이 탑은 세부조각이 형식적으로 흐른감이 있으나 장중하고 안정감이 느껴지는 고려 전기의 우수한 석탑이다.
▲오층석탑
▲팔부신중(건달바)
▲팔부신중(이수라)
▲팔부신중(긴나라?)
▲팔부신중
▲팔부신중(용?)
▲팔부신중
<2010. 7. 24>
'◈한국문화순례◈ > 내포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비 (0) | 2010.08.04 |
---|---|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 (0) | 2010.08.04 |
서산 보원사터 석조 (0) | 2010.08.03 |
서산 보원사터 당간지주 (0) | 2010.08.03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0) | 201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