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조양문(朝陽門) 홍성 조양문(朝陽門) 조양문은 홍주성의 동문으로 조선 고종 7년(1870)에 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대대적으로 수리할 때 세운 문루(門樓)이다. 동문은 조양문, 서문은 경의문(景義門), 북문은 망화문(望華門)이라 하는데 대원군이 친필로 문액(門額)을 하사하였으며 남문은 문루가 없다. 북문은 역대 목사..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8.29
홍성 홍주아문(洪州衙門) 홍성 홍주아문(洪州衙門) 이 문은 조선왕조 때 홍주목의 동헌인 안회당(安懷堂)의 외문으로서 1870년 당시 홍주목사(洪州牧使) 한응필(韓應弼)이 홍주성을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이 성의 동문인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같이 세운 것이다. 현재 이 건물에 걸려 있는 홍주아문(洪州衙門) 이란 편액은 대..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8.29
홍성 홍주성 수성비(修城碑) 홍성 홍주성 수성비(修城碑) 홍주성 수성비는 순조 24년(1824) 황폐된 홍주성 보수를 완공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것이다. 본래 홍성읍 고암리에 있었다. 비문의 내용을 보면, 성의 축조과정을 알 수 있다. 홍주는 지역이 바닷가에 있어서 서울의 서남쪽의 방비를 위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이 성이 부..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8.29
홍성 홍주성(洪州城) 홍성 홍주성(洪州城) 최초 축성연도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 백월산 중턱에 위치했던 해풍현이 현재 위치로 옮겼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때 성을 축조한 것으로 추측되며 규모는 1,300척의 토성으로 400개의 성첩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후 여러 차레 보수 확장을 하였고 조선시대 고종 7년(1870) 홍주목..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8.29
보령 삼계리 석탑 보령 삼계리 석탑 <국립부여박물관> ▲삼계리 석탑(통일신라시대 9~10세기) <2008. 3. 16>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7.14
당진 출토 석조관음보살좌상(石造觀音菩薩坐像) 당진 출토 석조관음보살좌상(石造觀音菩薩坐像) <국립부여박물관> ▲석조관음보살좌상(石造觀音菩薩坐像, 고려시대 11~13세기) ▲석조관음보살좌상(石造觀音菩薩坐像, 고려시대 11~13세기) <2008. 3. 16>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7.14
보령 성주사터 출토 비석받침(龜趺) 보령 성주사터 출토 비석받침(龜趺) <국립부여박물관> 비석받침(龜趺)은 거북 모양의 돌비석 받침돌을 가리킨다. 거북이 잔등에 장방형의 비좌(碑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는 것은 중국 당(唐)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이 비석받침은 머리와 몸의 일부가 없어졌으나 다리와 등 모양..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7.06
천안 용원리 출토 관모(冠帽) 천안 용원리 출토 관모(冠帽) <국립공주박물관> 위가 둥근 모양의 이 금동관은 백제 한성말기에서 웅진초기의 전형적인 관모로서 익산 입점리나, 나주 신촌리, 합천 반계제와 옥전을 거쳐 일본 규슈의 에다후나야마(江田船山) 고분에서도 출토되어 백제와 일본열도와의 교류를 증명해주고 있다.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2.23
홍성 심금성 출토 오수전무늬항아리조각(五銖錢文陶器片) 홍성 심금성 출토 오수전무늬항아리조각(五銖錢文陶器片) <국립공주박물관> ▲오수전무늬항아리조각(五銖錢文陶器片, 백제시대) <2008. 1. 20>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2.23
서산 여미리 출토 말탄사람새김항아리(甁) 서산 여미리 출토 말탄사람새김항아리(甁) <국립공주박물관> 서산 여미리 I-13호 돌덧널무덤에서 출토된 병의 어깨 부분에는 말탄 사람이 새겨져 있다. 말 등에 올라 탄 기마병으로 뒤에 휘날리는 깃발을 달고 질주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그림에는 말의 꼬리에 길게 이어져 있는 장식과 같은 그림이..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