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보원사터 출토 범어문암막새(梵語文平瓦當) 서산 보원사터 출토 범어문암막새(梵語文平瓦當)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범어문암막새(조선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1
서산 보원사터 출토 귀목문암막새(鬼目文平瓦當) 서산 보원사터 출토 귀목문암막새(鬼目文平瓦當)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귀목문암막새(고려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1
서산 보원사터 출토 귀목문수막새(鬼目文圓瓦當) 서산 보원사터 출토 귀목문수막새(鬼目文圓瓦當)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귀목문암막새(고려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1
서산 보원사터 출토 당초문마루암막새 서산 보원사터 출토 당초문마루암막새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당초문마루암막새(조선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0
서산 보원사터 출토 보상화문암막새 서산 보원사터 출토 보상화문암막새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보상화문암막새(조선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0
서산 보원사터 출토 범어ㆍ당초문암막새 서산 보원사터 출토 범어ㆍ당초문암막새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암막새의 경우 조선시대에 많이 나타나는 범자문이 당초문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범어ㆍ당초문암막새(조선시대) ▲범어ㆍ당초문암막새(조선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0
서산 보원사터 출토 범어ㆍ연화문수막새 서산 보원사터 출토 범어ㆍ연화문수막새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범어ㆍ연화문수막새(조선시대) ▲범어ㆍ연화문수막새(조선시대) <2008. 8. 4>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0
서산 보원사터 출토 연화문수막새 서산 보원사터 출토 연화문수막새 <보원사터 유물 전시관> 기와의 역사는 오래 되었는데, 중국의 고서(古書) '고사고(古史考)'에 하(夏)나라 때 기와를 제작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진, 한대(秦, 漢代)에 이르러 고도로 발달하였다고 한다. 한국의 경우 한나라 무제가 한반도에서 한사군을 설치하면..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10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보승탑ㆍ탑비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보승탑ㆍ탑비 법인국사보승탑은 탑비와 함께 금당터 뒤에 나란히 서 있는 팔각원당형의 부도이다. 기단부가 땅속에 뭍혔던 것을 1962년도에 조사하여 기단부의 구조가 밝혀졌다. 이 부도는 4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지대석위에 8각형의 기단부와 탑신부를 형성하고 그위에 상륜부..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08
서산 보원사터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터 오층석탑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고려초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이다. 목조탑파에서 석조탑파로 변환되는 과정의 양식이며 아래층 기단에 사자상을, 윗층 기단에 팔부신중상을 새긴 것이 특이하다. 팔부신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08.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