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교동 출토 그릇받침(器臺) 창녕 교동 출토 그릇받침(器臺) <창녕박물관> 우리나라에서 토기로 만든 기대를 쓰기 시작한 것은 삼한의 형성이후 부터이지만 대형고분이 축조되면서 크게 유행하였다. 특히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가야와 신라에서 성행하였고 처음에는 일상용으로 쓰이다가 제사를 위한 공헌용(貢獻用)으로 만..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인화문병(印花文甁) 창녕 교동 출토 인화문병(印花文甁) <창녕박물관> *인화문병(印花文甁)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뚜껑접시(蓋杯) 창녕 교동 출토 뚜껑접시(蓋杯) <창녕박물관> *뚜껑접시(蓋杯)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연질뚜껑항아리(軟質有蓋壺) 창녕 교동 출토 연질뚜껑항아리(軟質有蓋壺) <창녕박물관> *연질뚜껑항아리(軟質有蓋壺, 위) *연질뚜껑항아리(軟質有蓋壺, 위)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굽다리접시(高杯) 창녕 교동 출토 굽다리접시(高杯) <창녕박물관> 다리가 붙은 그릇. 고배(高杯)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토기 중에도 비슷한 기종이 간혹 보이지만, 삼국시대와 신라 통일기에 주로 유행하였다. 제기(祭器)의 일종으로 신라·가야지역의 고분에서는 거의 예외없이 발견되며, 회청색..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유개장경호(有蓋長頸壺) 창녕 교동 출토 유개장경호(有蓋長頸壺) <창녕박물관> *교동1호분 유개장경호 *교동3호분 유개장경호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청동말방울(靑銅馬鈴) 창녕 교동 출토 청동말방울(靑銅馬鈴) <창녕박물관> *청동말방울(靑銅馬鈴)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청동말종방울(靑銅馬鐸) 창녕 교동 출토 청동말종방울(靑銅馬鐸) <창녕박물관> *청동말종방울(靑銅馬鐸)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은제관장식(銀制冠裝飾) 창녕 교동 출토 은제관장식(銀制冠裝飾) <창녕박물관> *은제관장식(銀制冠裝飾)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말자명소호(末字銘小壺) 창녕 교동 출토 말자명소호(末字銘小壺) <창녕박물관> *말자명소호(末字銘小壺)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