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계성고분 출토 주구호(注口壺) 창녕 계성고분 출토 주구호(注口壺) <창녕박물관> *주구호(注口壺, 1968년 조사)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계성고분 출토 인화문병(印花文甁) 창녕 계성고분 출토 인화문병(印花文甁) <창녕박물관> *인화문병(印花文甁, 계성 C-1호분)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계성고분 출토 파수부유대소호(把手附有臺小壺) 창녕 계성고분 출토 파수부유대소호(把手附有臺小壺) <창녕박물관> *파수부유대소호(把手附有臺小壺, 1968년 조사)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계성고분 출토 두귀달린목긴잔(兩耳附靈杯) 창녕 계성고분 출토 두귀달린목긴잔(兩耳附靈杯) <창녕박물관> 2단 투창이 뚫려있는 대부(臺部)와 토환이 들어 있어 소리를 내게하는 영부(靈部), 그리고 양쪽에 고사리 모양의 파수가 부착된 배부(杯部)로 구성된 삼국시대의 수작이다. *두귀달린목긴잔(兩耳附靈杯, 1968년 조사)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토제다리미(熨斗) 창녕 교동 출토 토제다리미(熨斗) <창녕박물관> *토제다리미(위두)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청동다리미(熨斗) 창녕 교동 출토 청동다리미(熨斗) <창녕박물관> *청동다리미(위두)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청동자루솥 창녕 교동 출토 청동자루솥(초<金+焦>斗) <창녕박물관> 초두는 술이나 음식, 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하던 도구로, 대부분 왕릉을 비롯한 큰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어 고대 왕실에서 흔히 사용한 생활용기로 보인다. 이처럼 일상에서 사용하였던 초두를 함께 매납한 것은 죽은 자의 사회..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보습 창녕 교동 출토 보습(&#38014;) <창녕박물관> *보습 *보습 *보습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
창녕 교동 출토 장경호(長頸壺) 창녕 교동 출토 장경호(長頸壺) <창녕박물관> *교동 3호분 출토 장경호(長頸壺) *교동 3호분 출토 장경호(長頸壺) *교동 3호분 출토 장경호(長頸壺) <2007. 4. 2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7.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