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관룡사 약사전 석조여래좌상 창녕 관룡사 약사전 석조여래좌상 관룡사 약사전에 모셔진 고려시대의 불상이다. 높은 대좌 위에 특이한 항마촉지인을 하고 앉았는데, 불신 높이 1.1m, 대좌 높이 0.86m로 광배는 없어졌다. 몸 전체에 흰 회칠을 두껍게 하고 눈과 입을 그려 원래 모습은 잘 알 수 없지만 거의 완전한 모습을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1.16
창녕 관룡사 약사전 창녕 관룡사 약사전 관룡사 약사전은 정면과 측면이 각 1칸의 맞배지붕이다.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으며 그 사이의 포벽에도 구조물이 생략되어 있다. 창방의 끝을 그대로 첨차로 만들고있는데 이는 주심포계 건물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수법이다. 그러나 내부의 첨차는 다포계 건물에서..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1.15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룡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인 다포식 건물로 겹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기둥 위에는 춤이 큰 창방과 평방을 놓고 그 위에 세부처리가 고식인 포작을 올려놓았다. 포작은 안팍 모두 2출목이며 출목 바로 위의 살미첨차의 끝은 삼각형이다. 쇠서(牛舌)는..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1.14
창녕 관룡사 일주문 창녕 관룡사 일주문 돌장승을 지나 가파르게 이어지는 골짜기를 따라 소나무 숲길을 올라가면 시원스런 대나무 숲과 함께 정갈하게 다듬어진 돌계단이 나온다. 계단이 끝나는 곳에 돌을 쌓아 문을 만들고 그 위에 기와지붕을 얹은 작은 문이 나오는데 이것이 관룡사의 일주문인 셈이다.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1.13
창녕 관룡사 석장승 창녕 관룡사 석장승 장승에는 돌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다. 장승의 기원은 고대 성기(性器) 숭배에서 나왔다거나 사찰 토지(寺田)의 표지로 이용되었다는 등 여러 설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장승을 지방에 따라 벅수 벅시 법수 수살목 당산할배 등으로도 불렀다. 장승은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1.12
창녕 사리 석조광배 창녕 사리 석조광배 이 광배는 신라시대의 사찰로 전하는 대흥사(大興寺)가 있던 곳에서 출토된 것이다. 높이 1m, 너비 1.1m의 크기로 중간 부분이 잘록한 물방울 모양이며 머리광배와 몸광배가 표현되었다. 끝 부분의 일부는 파손되었으나 나머지는 비교적 완전하며 새겨진 문양도 뚜렷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8.01.11
양산 법기저수지 양산 법기저수지 법기수원지는 부산시 선두구동과 노포동, 남산동, 청룡동 일대 7천가구의 식수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수 없이 먹을 수 있는 청정 수질을 자랑한다. 일제강점기인 1927년 착공해 1932년 완공됐으며, 수원지 안에는 침엽수림인 측백나무와 편백을 비롯해 높이 30~40m에 달..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6.06.03
한려수도 봄마중 - 거제 바람의 언덕 한려수도 봄마중 - 거제 바람의 언덕 남부면 해금강마을 가기 전 도장포 마을이 있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도장포 유람선선착장이 있어 외도.해금강 관광을 할수 있으며, 매표소에서 바라다 보이는 언덕이 바람의 언덕이다. 이곳은 잔디로 이루어진 민둥산이며 바다가 시원스레 바라다 보..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6.04.06
한려수도 봄마중 - 거제 신선대 한려수도 봄마중 - 거제 신선대 신선이 되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신선대이다. 신선대는 바다가 시원스레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바닷가에 큰 바위가 자리를 잡고 앉아, 주변의 아기자기한 경관들을 거느리고 신선놀음을 하는 형상이다. 다포도, 천장산과 함께 오색바위..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6.04.05
한려수도 봄마중 - 거제 지심도 동백숲길 한려수도 봄마중 - 거제 지심도 동백숲길 여행객들이 주로 찾는 이유는 장승포에서 배를 타고 오가는 시간이 짧은데다가 빽빽한 숲이 아담하게 감싸 안은 채 한적하고 동백길이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유인도 가운데 자연 생태계가 아주 잘 보존된 청정의 섬이다. 동백꽃은 12월..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6.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