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자이니나가르 라마그라마 스투파 타르초 우자이니나가르 라마그라마 스투파 타르초 THARCHOG 風念經ㆍ經文旗 오색천에 경문을 가득 적어서 높은 곳에 걸어두어 진리가 바람을 타고 세상 곳곳으로 퍼져 모든 중생들이 해탈에 이르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있다. 글을 모르는 사람들도 바람에 타르초가 한 번 펄럭일 때 마다 그곳에 ..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7
우자이니나가르 라마그라마 스투파 우자이니나가르 라마그라마 스투파 RAMAGRAMA STUPA 붓다께서 입멸하신 후 사리는 8분되어 여덟 나라가 공평히 나누어 가졌다. 그 중에는 라마그라마의 콜리아 족도 있어 그들도 사리를 모신 스투파를 건립하였다. 그후 BC3세기 경 아소카 왕은 8개의 스투파에 나뉘어진 사리를 모아 재분배하..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7
우자이니나가르 자라이 강 우자이니나가르 자라이 강 JHARAI RIVER 일본사원을 지나 조금 걸어가니 오른쪽에 마치 늪처럼 보이는 습지가 보였다. 자라이 강이란다. 강물 위에는 수초들이 가득 자라고 있었다. 새벽 안개 속에 보이는 자라이 강이 신비롭게 여겨졌다. ▲자라이 강 ▲자라이 강 ▲자라이 강 ▲자라이 강 ..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7
우자이니나가르 일본사원 우자이니나가르 일본사원 UJAINI NAGAR 새벽에 길을 나섰다. 오늘은 라마그라마 스투파를 찾아 나섰다. 안개가 자욱하게 낀 새벽길을 달렸다. 도로에는 거의 차들이 다니지 않아 안갯길이지만 꽤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었다. 이윽고 차가 멈추고 일행은 내렸다. 작은 숲 속에 작은 사원이 하..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7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해넘이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해넘이 틸라우라코드의 카필라바스투에 해가 진다. 오늘은 인도네팔 여행 13일째다 틸라우라코트의 나뭇가지 사이로 비치는 석양빛이 참 아름답다.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해넘이 <2015. 1. 26>..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1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슈도다나왕 스투파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슈도다나왕 스투파 카필라성의 북쪽으로 약 400여m 지점에는 붓다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난 후 코타마 붓다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슈도다나왕과 마야데비 왕비의 것으로 추정되는 두 기의 스투파 유적이 남아있다. 슈도다나왕..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1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궁성 서문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궁성 서문 카필라성의 서문터는 유적이 좀더 잘 남아있다.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궁성 서문 <2015. 1. 26>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1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왕궁유적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왕궁유적 동문에서 서쪽으로 유적지 내부로 들어서면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발굴지가 눈에 들어온다. 약 3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서 있는 동문터와 서문터 사이에는 유적지의 중앙에 벽돌 건물의 흔적이 늘어서 있다. 이곳에 슈도다나왕의 본궁터로 추..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9.01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궁성 동문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궁성 동문 궁성의 동문터는 역시 구운 벽돌로 쌓았다. 동문 밖에는 붓다께서 출가하실 때 타고 나갔던 말 칸다카(Kandaka)의 탑이 있었다고 한다. 붓다께서 출가하신 후에 왕궁으로 돌아온 칸다카가 왕자를 그리워하며 성에 들어가지 않고 동쪽 성문 밖에..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31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궁성 연못 네팔 카필라바스투 - 틸라우라코트 궁성 연못 카필라바스투의 동북쪽 모서리에 연못 유적이 남아있고 지금도 물이 고여있다. 물에는 수초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궁성 연못 ▲궁성 연못 ▲궁성 연못 ▲궁성 연못 <2015. 1. 26>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