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누라다푸라 마하세나 궁전 문스톤 아누라다푸라 마하세나 궁전 문스톤 Moon Stone 라트나 프라사다에서 동쪽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돌기둥과 돌문 따위가 남아 있는 궁전의 흔적이 있다. 성스러운 보리 수 사원 북쪽 입구에 보이는 수백 개의 돌기둥은 고대 왕궁터이다. 이 궁전은 기원전 2세기 이곳을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22
아누라다푸라 라트나 프라사다 가드스톤 아누라다푸라 라트나 프라사다 가드스톤 Guide Stone 라트나 프라사다 입구 좌우에 수호신장이 묘사된 가드스톤Guardstone이 있다. 가드스톤에는 힌두문화에서 유래된 나가Naga와 그의 난쟁이 하인이 묘사되는데, 이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장의 역할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나가와 같이 불법을 수..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21
아누라다푸라 라트나 프라사다 아누라다푸라 라트나 프라사다 Ratna Prasada 투파라마 다고바에서 북쪽으로 더 올라가면 작은 가옥 옆으로 샛길을 지나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들어가데 된다. 오른쪽 조용한 숲속에 있는 작은 랑카라마 다고바 Lankarama Dagoba를 지나 더 가면 옛날에 돌로 지은 궁전의 흔적이 라트나 프라사다이..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20
아누라다푸라 보리수사원 아누라다푸라 보리수사원 Bodhi tree Shrine ▲보리수사원 ▲보리수사원 ▲보리수사원 ▲보리수사원 불상 ▲보리수사원 불족적 ▲보리수사원 불족적 ▲보리수사원 불족적 ▲보리수사원 불상좌대 ▲보리수사원 불상좌대 <2018. 1. 16>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9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미모사 꽃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미모사 꽃 마하 비하라에 미모사 곷이 피었다. 미모사는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원예에서는 한해살이풀이다. 함수초 또는 갈호초라고도 한다. 키는 30cm 정도이고, 줄기에 잔털과 가시가 조금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 잎자루 끝에 4개의 가지를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8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포쿠나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포쿠나 Pokuna 마하 비하라에는 목욕을 할 수 있는 연못시설인 포쿠나가 갖추어져 있다. 사각의 포쿠나는 잘 치석된 돌로 석축을 쌓은 윗단에서 내려오는 수도관이라 생각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체계적으로 배관 설비 계획이 있었을을 알 수 있다...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7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공양간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공양간 마하 비하라의 공양간은 주변이 저장시설로 둘러싸여 있고 수로가 정비되어 있다. 공양간에는 밥을 담았던 거대한 석조가 남아있어 당시 이곳에 얼마나 많은 수도승과 불자, 도한 그들을 따르는 무리들이 있었을지 짐작하게 된다. 이 돌로 된 통, 즉 석..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6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아누라다푸라 마하 비하라 Maha Vihara 아누라다푸라에 소재한 불교사원들은 역사가 길고 규모도 크며 불교건축적 조형수법이 뛰어난 것들이 많다. 이들은 대부분 기원전에 건립되어 12세기 경까지 이어지는 불교사원들이다. 중국을 비롯한 북방계 불교국가의 불교사원과는 달리 가람배치..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5
스리랑카 조각 - 이수루무니아 사원 사랑의 연인상 스리랑카 조각 - 이수루무니아 사원 사랑의 연인상 Isurumunia Lovers 4~6Cent. AD 이수루무니아 박물관에서 가장 유명한 문화재는 '사랑의 연인상’이다. 이 연인상은 옛날 이곳의 왕자(살리아 왕자)와 천한 여인(아소카 말라) 간의 이루어질 수 없는 애틋한 사랑을 묘사해 놓은 것이다. 싱할라 왕..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4
스리랑카 조각 - 이수루무니아 사원 왕의 가족상 스리랑카 조각 - 이수루무니아 사원 왕의 가족상 King's Family 6~8Cent. AD 살리아 왕자와 마라의 결혼 후 모습이다. 한 가운데 도투게무누 왕과 왕비가 있고, 완의 왼편에 살리아 왕자 그리고 왕비 바로 곁에는 마라가 있다. 그러나 아소카 마라의 신분이 낮았기 때문에 이 조각에서는 구석에 조.. ◈인도아대륙문화순례◈/스리랑카문화권 2018.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