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군과의 전쟁터 - 일본 대마도 사스우라 몽골군과의 전쟁터 - 일본 대마도 사스우라 佐須浦, Sasuura 서기 1274년과 1281년 두 번에 걸친 몽골군의 침략으로 인해 쓰시마와 이키에서는 매우 처참한 참상이 빚어졌다고 전해진다. 1274년 10월 5일 몽골군 대장이었던 고쓰톤(忽敦)은 9백척의 군선과 3만명의 군사를 이끌고 쓰시마의 서해안..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2.07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가미자카 공원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가미자카 공원 上見坂公園, Kamizaka Park 표고 358m의 이 구릉은 자이쵸오도시(左厅落, Zaicho-otoshi)라는 명칭도 전해진다. 1246년 치쿠첸에서 온 고레무네 시게나오의 군세가 당시 쓰시마의 통치자 아비루((阿比留))씨를 여기서 격전 끝에 무너뜨려 소중상(宗重尙)씨가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2.06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해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해변 식사를 마치고 승차하기에 앞서 잠깐 해변을 둘러보았다. 나기팬션 앞 바다는 나름대로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고 있었다. 해안 가까이에 3개의 섬이 나란히 떠있어 아버지섬, 어머니섬, 아기섬이라는 애칭으로불리고 있단다. 아침 햇살을 받아 빛나는 바다 사..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2.06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일출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일출 嚴原, Izuhara 이튿날 아침 날이 밝아왔다. 7시부터 일출을 기다렸다. 하지만 바다에 안개가 끼어서 해는 뜨지 않았다. 7시 30분 식사시간이 되어 식당에서 아침식사를 하고 있던 중 7시 40분이 되자 구름 사이로 붉은 해가 떠올랐다. 대마도에서 처음으로 맞이하는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2.06
첫날 일정을 마치다 -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나기펜션호텔 첫날 일정을 마치다 -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나기펜션호텔 凪, Nagi 소선월을 끝으로 대마도 답사 첫날의 일정을 모두 마쳤다. 멧돼지 고기 구이로 저녁식사를 하고 이즈하라에 있는 나기펜션 모텔에 여장을 풀었다. 우리 일행이 묵었던 나기펜션호텔은 이즈하라 시내에서 버스로 약 10..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2.01
배를 밀어 넘기다 - 일본 대마도 코후나코시 배를 밀어 넘기다 - 일본 대마도 코후나코시 小船越, Kofunakoshi 쓰시마는 고대에서 중세까지 일본과 한반도를 연결하던 교통의 요충지였다. 소선월은 대마도 남북 82km 중 최저 해발지역이며 최소 폭 174m이다. 동쪽 바다에서 작은 배를 서쪽 바다로 밀어넘겼다. 이명으로 선월포(船越浦), 선..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2.01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지장보살상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지장보살상 엔쓰지에는 입은 석조 지장보살 상들이 모여있다. 작은 아이 석불상에 천 턱받침을 입혀놓은 모습들이 예사롭지 않다. 일본에서는 지장보살이 사산하거나 낙태한 아이들의 영혼을 보호하는 보살로 알려져 있어 어린이의 턱받이나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31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보협인탑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보협인탑 엔쓰지 본전 뒤에는 소(宗)가 일족의 묘지가 있다. 여기에 무로마치(室町)시대인 1408년부터 1468년까지60년간 7.8.9대도주가 대마도를 통치헸던 도주부도탑이 보협인탑으로 조성되어 있다. 대마도 도주들의 무덤을 보협인탑으로 축..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31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통신사 이예 공적비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통신사 이예 공적비 通信使李藝功績碑 원통사 계단을 오르기 전 오른편에 통신사 이예 공적비라고 적혀 있는 비석이 하나 보인다. 공적비는 높이 3m 50cm, 폭 70cm이며 그 옆에는 이예 선생의 활약상과 공적이 적혀 있는 높이 1m, 폭 2m의 부비가 있..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30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고려동종 최대종파 조동종 사찰 - 일본 대마도 엔쓰지 고려동종 엔쓰지 종루에는 조그마한 한국범종이 걸려 있다. 한국범종의 특징인 9개의 종유가 달려있다. 종의 높이는 108cm, 용뉴는 쌍용으로 되어있다. 종 하단에는 파도무늬의 팔괘가 보인다. 이 종은 엔쓰지 창건 당시에 조선에서 보낸 것으로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