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한국식 고분 - 일본 대마도 아사히야마고분 고대 한국식 고분 - 일본 대마도 아사히야마고분 朝日山古墳, Ashahi Yama 상대마정 하마구스 해안 구릉에 있는 석관묘이다. 좌청룡우백호가 뚜렷하고 안산이 바라보이는 지점에 3기의 석관이 남아있다. 이 유적은 昭和 46년(1971) 比田勝초등학교 학생 金広和君에 의해 발견된 広形銅..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21
일본 대마도 히타카츠항 일본 대마도 히타카츠항 比田勝港, Hitakatsu 새로 지은 부산국제여객터미널을 출항한 비틀 여객선은 1시간 10분간의 항해를 마치고 상대마 히타카츠항에 도착하였다. 대마도에는 히타카츠와 이즈하라 두 곳에서 여객선이 다닌다. 히타카츠 항에 내린 우리는 버스를 타고 역사문화탐방에 나..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20
일본 대마도 일본 대마도 對馬島, Tsushima Island 한반도와 일본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일본의 섬이다. 규슈본토까지의 최단거리는 약 80 km, 남동쪽 이키 섬까지의 거리는 47.5km이며, 한반도와의 거리는 약 49.5km이다. 섬 크기는 남북에 82 km, 동서에 18km이다. 섬 넓이는 700 km²이며, 섬의 인구는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19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여자 하니와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여자 하니와 埴輪, Haniwa ▲여자 하니와 ▲여자 하니와 <2016. 1. 3>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19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남자 하니와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남자 하니와 四つ塚, Yotsu Tsuka 6세기 하니와(埴輪)는 일본에서 고분시대(250경~500경)부터 무덤 위와 주위에 놓아둔 토용을 말한다. 초기의 하니와는 무덤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원통형 토기였다. 그후 4세기초에는 원통 위에 무사·하녀·무용수·..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19
일본 목욕하는 여인상 일본 목욕하는 여인상 히나고 지쓰조(日名子実三, 1893~1945) 1931년 제5회 구조사전(構造社展) 출품 대리석 입수경위 불명 ▲목욕하는 여인상 ▲목욕하는 여인상 <2015. 1. 11>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5.05.13
일본에 가 있는 한국불상 - 일본 관송원 소장 금동미륵보살반가상 일본에 가 있는 한국불상 - 일본 관송원 소장 금동미륵보살반가상 머리에는 화불이 있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머리 뒤쪽에는 광배를 붙였던 돌기 1개가 있다. 양쪽 귀 앞으로 보관대를 늘어뜨려 어깨까지 덮도록 했다. 가슴에는 목걸이와 비슷한 장식대를 갖추었으며 영락이 장식..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3.03.24
일본 일광사 소장 지장시왕도 일본 일광사 소장 지장시왕도 <지장시왕>, 비단에 채색, 117.1×59.2cm, 일본 일광사 지장보살은 관세음 보살과 함께 가장 많이 신앙되는 보살로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원하기 위하여 지옥에 몸소 들어가 죄지은 중생들을 교화, 구제하는 보살님으로 신앙된다. 이것은 지장보살..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3.03.17
일본 정가당 소장 지장시왕도 일본 정가당 소장 지장시왕도 <지장시왕>, 비단에 채색, 143.5×55.9cm, 일본 정가당 지장보살은 지장보살만을 그리는 독존상과 저승을 관장하는 여러 명의 시왕을 거느리는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아미타불을 도와 죽은 이를 극락으로 인도하는 역할 때문에 고려 시대 이후 그림과 조각으..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3.03.16
일본 원각사 소장 지장보살도 일본 원각사 소장 지장보살도 <지장보살>, 비단에 채색, 239.4×130.0cm, 일본 원각사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모신 전각은 지장전·명부전 혹은 시왕전이라 한다. 지장보살의 형상은, 본래 다른 보살형이 보관과 영락으로 장엄한 화려한 모습임에 반해 천의(天衣) 대신 가사를 입고 있으며,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