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경주 남산 탑골 부처바위

蔥叟 2006. 6. 29. 08:47

경주 남산 탑골 부처바위

 

   높이 약 9m, 둘레 약 30m 되는 거대한 바위 사면에 불보살과 천인 및 승려상을 얕은 부조로 새겨 사방사불정토(四方四佛淨土)를 나타내었다. 일제시대 오사까 긴따로(大坂金太郞)은 이곳에서 「신인사(神印寺)」명문와(名文瓦)를 발견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는 않는다.

 

   북면에는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조각한 영산정토(靈山淨土)를 나타내었다. 여래상은 손을 소매 자락 속에 넣었으며 광배는 마치 부챗살이 펴져 나가는 듯한 모양으로 새겼다. 여래상의 머리 위로는 천개(天蓋)가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인도지방에서 사용하는 일산을 의미하는데 일산은 뜨거운 햇빛을 가리기 위한 것이었으나 문화가 전파되면서 귀인의 머리 위를 장식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여래상 아래쪽에는 동서로 사자 두 마리가 꼬리를 날리며 달리고 있는데 사자의 꼬리가 3개인 것은 수나라 조각 양식이다. 여래상의 양쪽으로는 목탑이 새겨져 잇는데 동쪽의 것은 구층, 서쪽의 것은 칠층이다. 신라시대의 목탑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은 오늘날에 당시의 목탑을 추정해볼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목탑에는 각층 지붕에 풍경이 달려있으며 구층 지붕 위에는 화려한 상륜이 얹혀있다. 또 상륜 위로는 두 구의 비천상이 이 곳이 바로 하늘나라임을 노래하고 있다.

 

   동면에는 여래상과 보살상 그리고 7구의 비천상과 1구의 가릉빈가가 날고 있으며 이곳은 서방 극락정토(極樂淨土)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본존불은 아미타여래인데 북면과 마찬가지로 양손을 옷소매 속에 넣고 있다. 회화성이 강한 작품으로 자세를 틀고 기대고 있는 등 인간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광배는 원형에다 직성의 부챗살이 퍼져나가듯이 새겨져있는데 이것은 600년대 중국의 조각에 나타나는 기법이다.

 

   남면 가운데에는 합장한 삼존불을 새겼는데 바위에 합장한 조각은 이곳이 유일한 것이다. 합장상(合掌像)은 통일 초에 많이 만들어졌는데 특히 안압지에서 발견된 판불(板佛)에 많이 나타나고 있다. 삼존불 앞에는 항마촉지인상을 한 여래입상이 서있고 그 앞의 바위에는 보리수 아래에서 수도하는 스님상이 새겨져있다.

 

   서면에는 보리수 아래에 앉아 계시는 여래상과 비천상 2개를 새겼는데 여래상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으며 왼손바닥에 약합은 없으나 동면 서방극락정토와 대비되는 동방 유리광정토(琉璃光淨土)의 약사여래인 것으로 보인다.

 

   이 조각의 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먼저 강우방은 부조가 얕아서 회화성이 강하며 북면에 있는 쌍탑을 근거로 800년대 이후의 조각으로 편년하였다. 그러나 남면에 서있는 불상이 항마촉지인을 하고 가슴이 풍만하고 허리가 잘록하여 볼륨감 있는 표현을 한 것은 700년대의 조각으로 볼 수 있으며 남면 앞쪽에 있는 탑은 층급이 3개인 것으로 보아 900년대의 조각에 속한다는 것을 근거로 곽동석은 동서남북이 각기 시간적 차이를 두고 연대별로 조성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문명대는 650년을 전후한 통일기에 밀교인 신인종과 결부시켜서 편년을 하였다. 즉 명랑법사는 문무왕 때에 나정 남쪽에 금강사를 그리고 낭산 남쪽에 사천왕사를 지어 문두루비법(文豆婁秘法)으로 당나라를 물리쳤는데 이때에 그가 지은 신인사가 바로 이 절이라는 것이다. 방위신앙은 밀교(密敎)인 신인종에서 유행한 것으로 불력으로 국력을 신장시켜 삼국통일의 구심점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부처바위 전경

 

*부처바위 북면 전경

 

*부처바위 북면 전경

 

*부처바위 북면 전경

 

*부처바위 북면 전경

 

*부처바위 북면 전경

 

*부처바위 북면 전경

 

*여래좌상과 천개

 

*마애구층탑

 

*마애구층탑 상륜부

 

*북면 비천상

 

*북면 비천상

 

*마애칠층탑

 

*사자상(아상)

 

*사자상(우상)

 

*부처바위 동면 전경

 

*부처바위 동면 전경

 

*여래상과 보살상

 

*본존여래

 

*본존여래 상호

 

*보살상

 

*보살상 상호

 

*비천상 1

 

*비천상 2

 

*비천상 3

 

*비천상 4

 

*비천상 5

 

*비천상 6

 

*비천상 7

 

*가릉빈가

 

*공양승상

 

*동면 제2, 3바위 전경

 

*수하 수도승상

 

*수도승상

 

*승상

 

*신장상

 

*남면 전경

 

*남면 전경

 

*남면 전경

 

*남면 전경

 

*마애삼존불

 

*삼존불

 

*삼존불

 

*본존여래

 

*좌협시보살상

 

*우협시보살상

 

*승상

 

*승상

 

*여래입상

 

*여래입상

 

*여래입상 뒷면

 

*수하 승상

 

*승상

 

*얼굴바위

 

*얼굴바위 상세

 

*삼층석탑

 

*삼층석탑

 

*삼층석탑 기단부

 

*삼층석탑 지붕돌

 

*삼층석탑 지붕돌 우동

 

*석등 자리

 

*서면 전경

 

*서면 여래좌상

 

*여래 상호

 

*비천상

 

*비천상 상호

 

 

 

<2006. 6. 11>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장사 벌지지  (0) 2006.07.04
경주 망덕사터  (0) 2006.07.03
경주 남산 탑골 옥룡암  (0) 2006.06.28
경주 남산 전경애왕릉  (0) 2006.06.16
경주 남산 약수골 마애대불입상  (0) 200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