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망덕사터
사천왕사터 남쪽 길건너 들판의 한 자락에 작은 숲이 보이고 그 사이에 당간지주며 건물의 초석들이 흩어져 있다. 망덕사터다. 사천왕사를 지어 당의 침략을 물리쳤다는 이야기는 망덕사로 이어진다. 다시 삼국유사의 문호왕 법민조를 읽어보자.
신미년(671)에 당나라는 다시 조헌(趙憲)을 장수로 삼아 역시 군사 5만을 거느리고 와서 쳤다. 이때에도 그 술법(文豆婁 秘法)을 썼더니 배들이 그전처럼 침몰하였다. 이때에 한림랑 박문준(朴文俊)이 인문과 함께 옥중에 있었는데 고종이 문준을 불러 말하기를, “너희 나라에 무슨 비밀 술법이 있는가? 두 번이나 큰 군사를 동원하였는데도 살아 돌아온 자가 없구나!” 하니 문준이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저희들이 윗나라에 온 지 10여 년에 본국의 일은 알 수 없으나 다만 멀리서 한 가지 일을 들었을 뿐이 온데, 그것은 윗나라의 은혜를 후히 받아 삼국을 통일하고 그 은덕을 보답하기 위하여 새로 천왕사를 낭산의 남쪽에 짓고 황제님의 만수무강을 축복하노라고 오랫동안을 두고 법석을 배설하였을 뿐이라고 합니다.” 고종이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며 바로 예부시랑 악붕귀(樂鵬龜)를 신라에 보내어 그 절을 알아보도록 하였다. 왕이 미리 당나라 사신이 오리라는 소문을 듣고 이 절을 보이는 것이 마땅스럽지 못하였으므로 곧 바로 그 절 남쪽에 새 절을 지어놓고 기다렸다.
사신이 와서 말하기를, “황제를 위하여 축수하는 천왕사에 가서 먼저 분향을 해야 하겠다”고 하므로 곧 새 절로 인도하여 보였더니 사신이 대문에 서서 말하기를, “이것은 사천왕사가 아니다”라고 하면서 멀리 덕요산(德遙山)에 있는 절을 바라보고 끝내 들어가지 않았다. 신라에서 그에게 황금 1,000냥을 뇌물로 주었더니 그는 돌아가 아뢰기를, “신라가 천왕사를 세우고 새 절에서 황제의 장수를 빌 뿐이었습니다”라고 하였다. 당나라 사신의 말에 따라서 그 절을 망덕사(望德寺)라고 하였다.
<삼국유사 문호왕 법민(文虎王法閔)조>
예나 지금이나 뇌물은 통했던가 보다. 망덕사는 효소왕대에 완성되어 낙성식을 하였는데 삼국유사 진신수공조(眞身受供條)에는 낙성식에서 왕에게도 사람을 없신여기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준엄하게 꾸짖었던 일을 소상하게 기록하고 있다.
장수(長壽) 원년 임진(692)에 효소왕(孝昭王)이 즉위하자 비로소 망덕사(望德寺)를 창건하여 당나라 황실의 복을 빌고자 하였다. 그후 경덕왕 14년(755)에 망덕사 탑이 흔들리더니 이 해에 안녹산(安祿山)의 난리가 나매 신라 사람이 말하기를, “당나라 황실을 위하여 이 절을 세웠기 때문에 그 감응은 당연하다”고 하였다.
8년 정유에 낙성회(落成會)를 베풀고 왕이 친히 거동하여 공양을 하는데 웬 중이 헙수룩한 꼴로 마당에 쭈그리고 서서 청하기를, “소승도 역시 재(齋)에 참여하기를 바랍니다”라고 하니 왕이 말석에 참례할 것을 허락하였다. 재가 파할 무렵에 왕이 농담조로 말하기를, “어느 절에 사는고?” 라고 하니 중이 말하기를, “비파암(琵琶巖)이외다”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이 참에 돌아가면서 누구에게도 국왕이 친히 공양하는 재를 받았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니 중이 웃으면서 대답하기를, “폐하 또한 남에게 석가의 산 현신(眞身)에게 공양하였다고 말하지 마시오” 하고 말을 마치자 몸을 솟아 허공에 떠서 남쪽으로 향하여 갔다.
왕이 놀랍고도 무안하여 동쪽 언덕으로 달려 올라가 그쪽을 향하여 절을 하고 사람을 시켜 찾게 하였던 바 중은 남산 참성곡(參星谷) 돌 위에 이르매 지팡이와 바리때를 두고 사라졌다. 심부름 갔던 사람이 와서 복명하매 드디어 비파암 밑에 석가사(釋迦寺)를 세우고 그의 자취가 사라진 곳에 불무사(佛無寺)를 세워 지팡이와 바리때를 나누어 모셨는데 두 절은 지금까지 남아 있지만 지팡이와 바리때는 없어졌다.
「지론(智論)」제4에서 일렀다.
“옛날 계빈삼장(罽賓三藏)이 아란야법(阿蘭若法)을 가지고 수행을 쌓아 일왕사(一王寺)에 갔더니 절에서 큰 법회가 열렸는데, 문 지키는 사람이 그의 의복이 남루함을 보고, 문을 막고 들이지 않았다. 이러기를 여러 번 하였으나 의복이 해졌다고 매번 들이지 않으매 방편을 써서 좋은 옷을 빌려 입고 왔더니 문지기가 보고 들어가기를 허락하고 막지 않았다. 좌석을 얻어 참례하게 되어 여러 가지 좋은 음식을 얻어서 먼저 의복에 주었더니 여러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물었다 그가 대답하기를, ‘내가 앞서 여러 번 왔으니 매번 들어오지 못하다가 이번은 의복 때문에 이 좌석에 들게 되어 여러 가지 음식을 얻었으매 이 의복에 주는 것이 마땅할까 하오’라고 했다”고 하였으니 사건이 같은 사례라고 할 만하다.
<삼국유사 진신수공(眞身受供)조>
현재 망덕사터에는 동서로 목탑터가 남아있는데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13층의 목탑이 있었다고 한다. 또 당나라에서 안록산의 난이 일어났을 때 망덕사의 동서 두 탑이 서로 싸워 흔들렸는데 탑이 싸우는 것을 보고 “중국 황실을 위해서 지은 절이니까 탑이 흔들리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고 하였다고 한다.
또한 망덕사에는 선율 스님이 이승에서의 명을 다한 후 저승에 갔지만 다시 환생하여 육백만 바라밀경을 새기는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다. 선율환생(善律還生)조를 읽어보자.
망덕사 중 선율이 돈을 시주 받아 「육백반야경(六百般若經)」을 이루려 하다가 과업을 아직 이루기 전에 갑자기 저승으로 잡혀가서 염라대왕에게 갔더니 그가 묻기를, “너는 인간 세상에 있으면서 무슨 일을 하였느냐?”고 하였다. 선율이 답하기를, “소승이 늘그막에 대품경(大品經)을 완성하려다가 과업을 못다 성취하고 왔나이다”라고 하니 염라대왕이 말하기를, “너의 정한 수는 비록 다 되었지만 좋은 발원을 아직 마치지 못하였으니, 마땅히 다시 인간 세상으로 돌아가 보귀로운 불전(寶典)을 끝마칠 것이다”라 하고 곧 놓아 돌려보냈다.
돌아오는 길에서 웬 여자가 울면서 앞으로 와서 절을 하고 말하기를, “저 역시 남염주(南閻州) 신라 사람인데 부모가 금강사 논 한 이랑을 몰래 훔친 죄에 연좌되어 저승에 잡혀와서 오랫동안 고초를 받사오니 지금 스님이 만약 고향으로 돌아가시거든 우리 부모에게 그 밭을 빨리 돌려주라고 말씀해 주십시오. 또 제가 인간 세상에 있을 때 평상 밑에 참기름을 묻어두었고 이부자리 속에 가는 베도 함께 간직해 두었으니 스님께서 제 기름을 가져다가 부처님께 공양 등불을 켜주시고 베는 팔아 불경 베기는 비용에 써주십시오. 그러면 황천에서도 은혜가 될 것이요 저는 이 고초를 벗어날 것만 같습니다”라고 하였다.
선율이 말하기를, “너의 집이 어디냐?”고 하니 그녀는 “사량부(沙梁部) 구원사(久遠寺) 서남리(西南里)외다”라고 하였다. 선율이 이 말을 듣고 막 가려 하자 이내 소생하였다. 이때는 선율이 죽은 지 벌써 열흘이 되어 남산 동쪽 기슭에 장사를 지낸 뒤였다. 선율이 무덤 속에서 사흘 동안이나 외치자 목동이 이 소리를 듣고 본 절에 와서 고하였으므로 중이 가서 무덤을 파내 놓으니 선율은 지난 일을 자세히 이야기하였다. 선율이 그 여인의 집을 찾아갔더니 벌써 죽은 지 15년이 되었는데 기름과 베가 그대로 있는지라 부탁대로 명복을 빌어주었다. 여인의 넋이 와서 말하기를, “스님의 은혜를 입어 저는 벌써 고초를 벗어났소이다”라고 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이 소문을 듣고 모두가 놀라 감복하여 그를 도와 불경을 완성하였다. 그 불경 책이 지금 경주의 중 맡아보는 관청 곳간(僧司書庫)속에 있어 매년 가을, 봄으로 펴 널어서 액막이를 한다고 한다.
<삼국유사 선율환생(善律還生)조>
이 이야기는 신라에서 스님들도 화장을 하지 않고 매장을 하였다는 사실과 진실 되게 살아야 한다는 경고의 메시지와 함께 경전을 만드는 일에는 명부의 신들도 세속의 일이 아니므로 불교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동참하였다는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망덕사터
*망덕사터
*망덕사터 당간지주
*당간지주
*당간지주 하부
*당간지주 하부
*당간지주 간구
*금당터 초석군
*금당터
*금당터
*금당터
*초석
*초석
*서탑터
*서탑 심초석
*동탑터
*동탑 심초석
*동탑터
*동탑터 초석
*논두렁에 사용된 석재들
<2006. 6. 28>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남산 오산골 염불사터 (0) | 2006.07.05 |
---|---|
경주 장사 벌지지 (0) | 2006.07.04 |
경주 남산 탑골 부처바위 (0) | 2006.06.29 |
경주 남산 탑골 옥룡암 (0) | 2006.06.28 |
경주 남산 전경애왕릉 (0) | 2006.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