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한산성 현절사 광주 남한산성 현절사 현절사顯節祠는 병자호란(1636) 때 3학사 윤집·홍익한·오달제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3학사는 적에게 항복하기를 끝까지 반대하다가 청나라에 끌려가 갖은 곤욕을 치르고 참형을 당하였다. 조선 숙종 14년(1688)에 그들이 끝까지 척화..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8.03
광주 남한산성 동문 광주 남한산성 동문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의 문을 두고 있으며 ‘좌익문左翼門’으로 불리는 동문은 한반도 중부내륙지방과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이다. 남한산성에서 가장 통행이 많았던 성문으로 광주에서 계곡을 따라 평탕한 길이 나 있기 때문에 산성에서 필요한 물자는 동문..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8.02
광주 남한산성 광주 남한산성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주장성(일명 일장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기록은 없으나 조선『세종실록지리지』에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다. 조선 광해군 1..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8.02
장승을 찾아서 - 광주 하번천리 양짓말 천하대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하번천리 양짓말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상호 ▲천하대장군 상호 ▲솟대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8.01
장승을 찾아서 - 광주 하번천리 양짓말 지하여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하번천리 양짓말 지하여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상호 ▲지하대장군 상호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8.01
장승을 찾아서 - 광주 서하리 안골 천하대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서하리 안골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천하대장군 상호 ▲천하대장군 상호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7.31
장승을 찾아서 - 광주 서하리 안골 지하여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서하리 안골 지하여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상호 ▲지하대장군 상호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7.31
장승을 찾아서 - 광주 사마루 지하여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사마루 지하여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지하대장군 상호 ▲지하대장군 상호 ▲솟대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7.31
장승을 찾아서 - 광주 무갑리 남방적제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무갑리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남방적제장군 상호 ▲남방적제장군 상호 ▲솟대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7.30
장승을 찾아서 - 광주 무갑리 북방흑제장군 장승을 찾아서 - 광주 무갑리 북방흑제장군 ▲북방흑제장군 ▲북방흑제장군 ▲북방흑제장군 ▲북방흑제장군 ▲북방흑제장군 상호 ▲북방흑제장군 상호 ▲북방흑제장군 상호 ▲북방흑제장군 상호 ▲북방흑제장군 상호 ▲솟대 ▲솟대 <2013. 5. 18>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