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원원사터 삼층석탑 경주 원원사터 삼층석탑 절터에서 가장 높은 자리에는 금당터와 강당터가 자리잡았고 그 앞에 동서 삼층석탑이 늠름하게 서 있다. 삼층석탑의 1층몸돌에는 사천왕상이 그리고 상층기단부에는 십이지신상이 새겨져 있는데 그 조각 솜씨가 매우 훌륭하다. 탑에 조각이 새겨지는 것은 두 가지의 계보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5.03
경주 봉서산 원원사터 경주 봉서산 원원사터 원원사터는 경주의 동남쪽 토함산의 끝자락인 봉서산 중턱에 있다. 장대한 석축을 이용한 산지가람으로 불국사 석축의 원형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현재의 절이름과 1669년 경주부윤 민주면이 간행한 동경잡기에는 원원사(遠願寺)로 표기되어 있지만 삼국유사에는 원원사(遠源寺)..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5.02
경주 낭산 능지탑 경주 낭산 능지탑 *능지탑 *능지탑 *능지탑 *능지탑 *능지탑 *능지탑의 연화문 *능지탑의 연화문 *복원 후 남은 석재 *복원 후 남은 석재 *능지탑 주변의 들꽃 *들꽃 *양지꽃 *양지꽃 *능지탑의 십이지신상(쥐) *소 *토끼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2006. 4. 3>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4.10
경주 남산리 석조감실 경주 남산리 석조감실 *석조감실 전경 *석조감실 세부 *석조감실 연화대 *석조감실 뒷면 *석조감실 뒷면 *석조감실 *석조감실 *석조감실 내부 *석조감실 <2006. 4. 3>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4.08
경주 미탄사터 삼층석탑 경주 미탄사터 삼층석탑 *미탄사터 삼층석탑. 멀리 남산이 보인다 *미탄사터 삼층석탑. 선도산을 바라보면서 *미탄사터 삼층석탑 *석탑 기단부. 전형적인 8세기 기단이다 *미탄사터 삼층석탑 기단부 *탑신부. 층급받침이 3단으로 9세기 이후의 양식이다 *미탄사터 석등 하대석과 간주석 *석탑 주변의 석..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4.07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전경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전경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상호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상호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광배 화염문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상반신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전경 *경내에 핀 목련 *목련 *목련 *동백 <2006. 4. 3..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4.06
경주 함월산 골굴암 경주 함월산 골굴암 *일주문 *골굴암 전경 *골굴암 *골굴암 *골굴암 *대적광전 *골굴암 *골굴암 *관음굴 *관음굴 내부 *관음굴 내부 *관음굴 내부 *관음보살좌상 *관음굴 내부 *관음굴 내부 *관음굴에서 내다본 풍광 *오륜탑 *신중단 *관음굴과 산신당의 여궁 *남근바위 *신중단 *산신굴 *약사굴 *대적광전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4.06
경주 동해구 이견대 경주 동해구 이견대 삼국통일을 이룩한 문무대왕의 호국정신이 깃들인 이견대(利見臺)는 중국의 고전인 주역에 '비룡재천이견대인(飛龍在天利見大人)'이라는 글귀에서 이름을 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인용된 감은사사중기에 의하면 문무왕이 왜병을 진압하고자 감은사를 처음 창건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4.05
경주 신라 문무대왕 수중릉 일출 경주 신라 문무대왕 수중릉 일출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2006. 3.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