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출토 석등부재 경주 출토 석등부재 <국립경주박물관> <석등 지붕돌> <화사석> <상대석> <2005. 11. 2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3
경주 출토 무명 석불 경주 출토 무명 석불 <국립경주박물관> <석불하대석> <2005. 11. 2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3
경주 양동마을 수운정 경주 양동마을 수운정 <수운정 주변풍광> <수운정 대문> <수운정> <수운정> <수운전 옆면> <수운정水雲亭 수청운허水淸雲虛에서 따온 말> <수운정. 수청운허는 '물과 같이 맑고 구름과 같이 허무하다'는 의미> <수운정중수기> <행랑채> <뒤뜰에서 바라본 안경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2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이희태 가옥) <두곡고택 전경. 뒷&#47754; 숲속에 보이는 건물이 동호정> <두곡고택 입구의 가랍집> <대문채> <대문채> <사랑채> <두곡서재.杜谷書齋> <중문> <창고> <안채> <동호정에서 바라본 안채와 마을> <고택 입구에서 바라본 동..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2
경주 양동마을 근암고택 경주 양동마을 근암고택(이동기 가옥) 이 가옥은 조선 정조 4년(1780)경 이정수에 의해 세워졌다고 전한다. 이희구가 홍릉참봉을 지냈으므로 참봉댁이라고 하고 혹은 근암고택이라고도 한다. 전체 모양은 일반적인 'ㅁ'자 또는 앞이 튼 'ㅁ'자 모양을 따르지 않고, 대문채 뒷편으로 'ㄱ'자 모양 안채가, 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1
경주 양동마을 상춘고택 경주 양동마을 상춘고택(이원용 가옥) 이 가옥은 조선 영조 6년(1730)경에 세웠다고 전하는데 상춘고택이라고도 한다. 안채와 사랑채를 앞이 튼 'ㅁ'자 모양으로 배치하였고 앞에 1자 모양의 행랑채가 있어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몸채의 가운데에 2칸 안대청과 1칸 건넌방이 있고 안대청의 왼쪽으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1
경주 양동마을 사호당고택 경주 양동마을 사호당고택(이원봉 가옥) 이 가옥은 조선 헌종 6년(1840)경에 세워졌다. 진사를 지낸 사호당 이능승이 살던 집으로 사호당 고택이라고도 한다. '一'자 모양의 행랑채, 앞이 튼 'ㅁ'자 모양의 안채와 여기에 1자 모양으로 이어지는 사랑채가 있다. 전체적으로 'ㅁ'자 모양 평면에서 사랑채가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21
경주 양동마을 이형동 가옥 경주 양동마을 이형동 가옥 <이형동 가옥 가을 풍경> <이형동 가옥. 사랑채와 행랑채가 나란히 연결되었다. 기와지붕과 초가지붕의 대조> <행랑채> <사랑채> <사랑채> <사랑채와 안채> <사랑채> <행랑채> <담장> <2005. 11. 12>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