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이 건물은 조선 중종 35년(1540)에 입향조 손소의 셋째 아들 손숙돈이 살림날 때 지었다고 한다. 현재는 병자호란 때 순절한 손종로(1598~1636)의 후손이 살고 있는 집으로 사랑채에 낙선당이란 당호가 있다. 건물구조는 안채, 대문채, 사랑채 등이 'ㅁ'자형으로 배치되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8
경주 흥륜사터 석조 경주 흥륜사터 석조 <국립경주박물관> 흥륜사터 석조는 길이가 3.92m나 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것이다. 옆면에는 '天光雲影'이라는 글씨가 크게 새겨져 있고 윗면 주연부에는 '二樂堂前...'이라는 작은 글씨 85자가 새겨져 있다. 이 명문은 모두 조선시대에 새겨진 것이다. 전면 구연부에는 한시(..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7
경주 남산 창림사터 비로자나불 경주 남산 창림사터 비로자나불좌상 <국립경주박물관> <비로자나불좌상 1> <비로자나불좌상 2> <2005. 11. 13>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7
경주읍성 출토 석등 경주읍성 출토 석등 <국립경주박물관> 이 석등은 경우읍성에 세워져 있엇다고 하는데 박물관으로 옮겨와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복원된 현재의 높이는 약 5m로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 석등으로는 최대규모이다. 하대석은 팔각형이며 옆면에 안상꼴로 감실을 마련하고 그 속에 생동감 넘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7
경주 양동마을 풍광 경주 양동마을 풍광 <양동마을> <양동마을> <민가> <민가 모습> <민가> <초옥> <거림> <거림> <물봉골> <초옥> <거림> <안골> <안골> <안골> <안골> <안골> <2005. 11. 12>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7
경주 양동마을 경산서당 경주 양동마을 경산서당 경산서당은 여주이씨 집안의 서당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경산서당 이선당> <대청과 온돌방> <경산서당 편액> <이선당> <학진재> <양지재> <2005. 11. 12> 삼문 외부 삼문 내부 양재 양재의 대청마루에 문을 달았다 <2006. 1. 2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6
경주 양동마을 설천정사 경주 양동 설천정사 정사는 학문을 가르치기 위해 마련한 건물로, 이 정사는 회재 이언적 선생의 셋째 손자인 흥해군수 설천정 이의활(1573~1627)이 선조 35년(1602)에 건립하여 강학하던 자리에 후대에 사림에서 그를 추모하여 다시 세운 것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왼쪽 4칸을 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6
경주 양동마을 영귀정 경주 양동마을 영귀정 <이호문> <이호문二乎門> <영귀정> <영귀정 편액> <계자각 난간> <계자각 난간> <난간의 무늬> <영귀정> <천정> <2005. 11. 12>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5
경주 양동마을 대성헌 경주 양동마을 대성헌 대성헌은 조선 영조 8년(1732)에 물와 이재직의 셋째아들 이능단이 분가할 때 지었다. 대성헌이란 성주봉을 마주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안채는 'ㄱ'자 모양이고 사랑채와 행랑채는 '一'자 모양으로 세 건물이 모여서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본채 6칸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