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노포동 출토 독널(瓮棺) 부산 노포동 출토 독널(瓮棺)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독널(瓮棺, 3세기 노포동 E 옹광묘)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11
김해 화정 출토 독널(瓮棺) 김해 화정 출토 독널(瓮棺)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독널(瓮棺, 기원전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11
마산 진동 출토 독널(瓮棺) 마산 진동 출토 독널(瓮棺)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독널(瓮棺, 기원전 1세기 전마산 진동)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11
부산 복천동 출토 갑옷ㆍ투구ㆍ목가리개 부산 복천동 출토 갑옷ㆍ투구ㆍ목가리개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무기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공격용과 방어용으로 나뉘어진다. 공격용 무기에는 칼, 창, 활 등이 있고 방어용 무기에는 갑옷, 투구, 목가리개, 방패 등이 있다. 방어용 무기 가운데 갑옷은 신체의 중요 부분인 가슴과 등을 보호하는 실..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8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부산박물관복천분관> ▲금동관(金銅冠, 5세기 복천동 1호분) ▲금동관(金銅冠, 5세기 복천동 11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8
부산 복천동 출토 큰항아리(大壺) 부산 복천동 출토 큰항아리(大壺) <부산박물관복천분관> 큰항아리(大壺)는 아가리 지름에 비해 그릇높이가 높고 중배가 조금 부른 토기를 일컫는 말이다. 고고학에서 대호(大壺)와 대옹(大瓮)은 그 구별이 어려운데 일반적으로 동체가 긴 타원형의 형태를 띠면 옹으로, 구형의 형태를 띠면 호로 분..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7
부산 복천동 출토 다리달린뚜껑사발 부산 복천동 출토 다리달린뚜껑사발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다리달린 뚜겅사발(有蓋臺附碗, 5세기 복천동 53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7
부산 복천동 출토 항아리받침대 부산 복천동 출토 항아리받침대 <부산박물관복천분관> ▲항아리받침대(鉢形器臺, 4세기 복천동 54호분) ▲항아리받침대(筒形器臺, 5세기 복천동 112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6
부산 복천동 출토 굽다리뚜껑접시 부산 복천동 출토 굽다리뚜껑접시 <부산박물관복천분관> ▲굽다리뚜껑접시(有蓋高杯, 5세기 복천동 53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6
부산 복천동 출토 뚜껑바리 부산 복천동 출토 뚜껑바리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뚜껑바리(有蓋臺附壺, 6세기 복천동 65호) <2008. 12. 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