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윤외리 출토 원통형굽다리접시 함안 윤외리 출토 원통형굽다리접시 <함안박물관> 함안지역에서는 4세기 전반 대부터 고식도질토기가 발생하였는데 그 중에서 원통형굽다리접시(筒形高杯)는 이 시기의 함안토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이후 굽다리가 점차 짧아지면서 5세기 대의 불꽃무늬굽다리접시와 그 계통이 연결된다. ▲원통..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6.30
함안 도항리 출토 등잔모양토기 함안 도항리 출토 등잔모양토기 <함안박물관> 등잔모양토기는 굽다리가 달린 작은 단지 위에 여러 개의 등잔이 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단지와 잔은 작은 구멍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불을 밝히는 심지를 둘 수 없고, 좁고 긴 원통모양을 하고 있어 실제 등잔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다만 수레바퀴..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6.29
함안 도항리 출토 수레바퀴모양토기 함안 도항리 출토 수레바퀴모양토기 <함안박물관> 수레바퀴모양토기(車輪形土器)는 굽다리 위에 수레바퀴가 양측에 놓이고 그 사이에 뿔잔을 마주보게 쌍으로 붙인 모양을 하고 있다. 뿔잔이 아닌 작은 항아리를 붙인 형태도 있다. 이러한 토기는 제사를 지낼 때 술이나 음료를 마시는 기능을 했..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6.28
함안 도항리 출토 불꽃무늬굽다리접시 함안 도항리 출토 불꽃무늬굽다리접시 <함안박물관> 불꽃무늬굽다리접시(火炎文透窓高杯)는 5세기경 함안지역을 중심으로 널리 유행한 함안양식토기의 한 종류를 말한다. 이 토기의 투창은 가야토기 중 가장 독특한 형태로 불꽃무늬와 비슷하여 불꽃무늬토기라고도 불리어진다. 이 토기는 주로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6.27
함안 도항ㆍ말산리 고분군 함안 도항ㆍ말산리 고분군 함안은 오래 전 아라가야 국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곳이다. 한때는 광개토왕비와 일본서기에 기록될 정도로 일본과의 교류를 주도하며 세력을 떨쳤건만 지금은 세월 속에 묻혀진 왕국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당시의 왕들은 화려했던 아라가야의 부활을 기다리듯 100여기의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6.26
창녕 교동 출토 뚜껑있는항아리 창녕 교동 출토 뚜껑있는항아리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뚜껑있는항아리(有蓋長頸壺, 5세기 교동 3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25
창녕 교동 출토 굽다리뚜껑접시 창녕 교동 출토 굽다리뚜껑접시 <부산박물관복천분관> ▲굽다리뚜껑접시(有蓋高杯, 5세기 교동 3호분) ▲굽다리뚜껑접시(有蓋高杯, 5세기 교동 3호분) ▲굽다리뚜껑접시(有蓋高杯, 5세기 교동 3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25
김해 양동 출토 세귀달린항아리 김해 양동 출토 세귀달린항아리 <부산박물관복천분관> ▲세귀달린항아리(三耳附壺, 3세기 김해양동 280호분)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24
김해 양동 출토 칼끝장식 김해 양동 출토 칼끝장식 <부산박물관복천분관> 검의 손잡이 끝 부분에 달리는 장식으로 검파두식(劒把頭飾)이라고도 한다. 자루 끝을 무겁게하여 칼을 손에 쥐었을 때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칼끝장식(劍把頭飾, 1세기 전김해양동)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24
김해 양동 출토 청동거울 김해 양동 출토 청동거울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동경의 가운데에 뉴를 중심으로 방형의 문양대가 있으며 그 내부에는 四葉座와 12字의 명문대가 있다. 동경에 있어서 그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내구에는 현무, 주작, 백호, 청룡의 四神圖와 T.L.V의 기하학적인 문양이 배치되어 있고, 그 바깥에 銘..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0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