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비대칭 기둥장식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비대칭 기둥장식 타지마할 영묘는 철저하게 좌우대칭의 미를 살려서 지었다. 중앙의 영묘, 좌우의 모스크, 앞쪽의 격자 형태의 정원, 타지마할의 영상이 비치는 일자형 수로, 그 속의 분수대, 네 모퉁이의 미나렛, 산책로 등은 완벽한 대칭을 이..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2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영묘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영묘 1628년에 무굴제국 5대 황제에 오른 '쿠람'은 스스로를 '세계의 왕'이라는 뜻의 '샤 자한(Shah Jahan)'이라고 칭하였고, 그의 아내 '알주만드 바누'는 '왕궁에서 선택한 사람' 이라는 뜻의 '뭄타즈 마할(Mumtaz Mahal)' 이라고 칭하였다. 왕비를 너무 ..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1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사분정원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사분정원 타지마할의 정문을 들러서면 묘당과의 사이에 사분정원이 있다. 전형적인 무굴 정원형식인 짜르바그(페르시아 정원)의 선을 따라 펼쳐진다. 네모난 땅이 수로에 의해 4등분되며, 중앙에 화려한 장식의 대리석 초석이 놓여있다. 네모..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1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정문 건축 조형미의 극치 - 인도 아그라 타지마할 정문 타지마할의 동문과 서문 사이에 정문이 있다. 타지마할의 정문 답게 규모도 커서 마치 거대한 성처럼 보인다. 기하학적 문양으로 가득한 이 거대한 아치형 정문은 붉은 사암과 하얀 대리석을 적절히 혼합한 웅장한 요새와 같다. ▲타지마..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1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모티마스지드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모티마스지드 Moti-Masjid 진주의 사원 디완이암을 나와 오른쪽을 보면 샤 자한이 심혈을 기울여 건축했다는 회교사원 '모티마스지드'가 있다. 관광객 출입이 통제되어 있어 들어갈 수 없었다. ▲모티마스지드 ▲모티마스지드 ▲모티마스지드 ▲모티마..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0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콜빈의 무덤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콜빈의 무덤 Tomb of John Russell Colvin 디완이암의 정원 한 가운데에 한기의 무덤이 있다. 영국이 지배할 당시 부총독이었던 레셀 콜빈의 무덤이라고 한다. 아름다운 이곳을 떠날 수 없다는 그의 유언에 따라 이곳에 매장하였다고 한다. ▲콜빈의 무덤 ▲콜..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0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디완이암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디완이암 Diwan-i-Am 황실 공적 접견실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디완이암 <2015. 1. 20>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10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나기나마스지드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나기나마스지드 Nagina Masjid 황실전용 예배사원 ▲니기나마스지드 ▲니기나마스지드 ▲니기나마스지드 ▲니기나마스지드 ▲니기나마스지드 ▲니기나마스지드 ▲니기나마스지드 <2015. 1. 20>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09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디완이카스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디완이카스 Diwan-i-Khas 황제 개인의 접견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디완이카스 <2015. 1. 20>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09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무심만버즈 요새와 왕자의 궁전 - 인도 아그라성 무심만버즈 Musamman Burj 아그라성은 부자간 반목의 상징으로 통한다. 반목의 두 주인공은 무굴제국 5대 황제인 샤자한(Shah Jahan)과 그의 아들 아우랑제브(Aurangzeb)다. 샤자한은 건축왕으로 불릴 만큼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많이 남겼다. 15번째 아이를 낳다.. ◈인도아대륙문화순례◈/인도문화권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