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16아라한 스투파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16아라한 스투파 Group of Sixteen Stupa 7/8 Cent.AD ▲16아라한 스투파 ▲16아라한 스투파 ▲16아라한 스투파 <2015. 1. 26>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7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아소카 석주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아소카 석주 ASOKA PILLAR 서기전 249년, 룸비니를 방문한 아소카 왕은 석주를 세워서 붓다께서 태어난 곳을 기념하였다. 현장스님의 기록에 의하면 상단부에는 말의 형상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찾아볼 수가 없다. 현재 남아있는 석주의 전체 높이는 7.2m인데 3m정도가..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6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싯다르타 연못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싯다르타 연못 PUSKARNI 마야데비 사원 남쪽에는 '푸스카르니(PUSKARNI)'라는 연못이 있다. 싯다르타 왕자가 태어나 처음으로 께끗하게 씻은 곳이며, 마야왕비가 몸을 씻은 곳이라고도 전해지는 곳이다. 계단식으로 만들어진 이 연못에 대하여 '마야왕비가 목욕한 연못..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6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마야데비 사원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마야데비 사원 MAYADEVI TEMPLE 룸비니에 도착하면 제일 먼저 보이는 것이 마야데비 사원이다. 힌색 건물에 네팔 스투파의 상륜부를 지붕 위에 얹어놓은 형태의 사원이다. 물론 이는 근래에 지은 것이고 원래의 사원은 내부에 무너진 상태로 남아있다. 마야데비 사원은..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6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가는 길 붓다의 탄생지 - 룸비니 가는 길 룸비니 동산으로 간다. 엄청나게 넓은 룸비니 동산은 차에서 내려서 함참을 걸어들어가야 한다. 입구에는 예의 네팔의 상징인 지혜의 눈을 가진 스투파가 장식되어 있다. 지루한 길가에는 이름모를 꽃들이 피어있고 넓은 저수지도 보인다. 룸비니의 마야데비 사원 입구에 도착하였다. 이곳에서는 신을 신고 들어갈 수가 없다. 신고있던 신발을 벗어서 관리인에게 맡기고 양말만 신은 채로 마야데비 시원쪽으로 걸어들어갔다. 석가모니 붓다께서 태어나신 룸비니는 지금은 한적하고 조용한 시골마을이다. 하지만 순례자들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왕궁을 더나 친정으로 향하던 마야왕비는 룸비니 동산에 이르러서 산기를 느끼고 무우수 아래에서 왕자를 낳았다. 위대한 성인 붓다께서 태어난 곳이지만 불교신도는 그..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5
인도 네팔 국경을 넘다 - 네팔 국경의 사람들 인도 네팔 국경을 넘다 - 네팔 국경의 사람들 네팔 국경에는 군인으로 보이는 제복을 입은 사람들이 서 있었다. 다가가서 사진을 찍겠다고 했더니 순순히 포즈를 취해준다. 게 중에는 시크교도들인 쓴다는 터번을 쓴 사람이 전형적이 남방인의 풍모를 보여주어 특별히 몇컷 찍었다. 또 아..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5
인도 네팔 국경을 넘다 - 네팔 국경문 인도 네팔 국경을 넘다 - 네팔 국경문 인도 국경문을 지나 20여m 지나 네팔 국경문이 있다. 인도 국경문은 어떤 상징인지를 알 수 없었으나 네팔의 국경문은 네팔 불탑을 문루에 올려놓았다. 우리는 가이드 싱이 비자발급을 받는 동안 인도와 네팔의 국경 모습을 한참 동안 구경할 수 있었..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8.25
중국 티벳 문수보살 중국 티벳 문수보살 Manjushri 서티벳 14세기 밀교에서 문수보살은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지혜의 보살로 인식되며, 다양한 존재로 모습을 바꾸어 세상에 나타난다. 그 중 하나가 이 작품에 형상화된 아라빠짜나Arapachana이다. 이 명칭의 5음절은 불교의 5가지 기본 가르침에 해당하는 용어에서 ..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4
중국 티벳 부처 중국 티벳 부처 티벳 15세기 항마촉지인을 취한 모습으로, 우견편단으로 얇게 표현된 법의는 신체에 밀착되어 불신의 굴곡을 잘 보여주고 있다. 법의의 끝단은 구슬띠로 장식하였고, 왼쪽 어깨에 잡히는 주름을 형식화하여 표현하였다. 15세기 티벳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예로, 균형..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4
중국 티벳 마하싯다 비루파 중국 티벳 마하싯다 비루파 Mahasiddha Virupa 티벳 16세기 마하싯다는 특별한 재능이나 위력을 지닌 위대한 종교적 스승을 가리키는 말로, 이 상은 80명의 마하싯다를 열거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비루파는 9세기 인도에 살았던 인물로 80 마하싯다 중 신통력이 가장 뛰어났던 인물이라 알려.. ◈인도아대륙문화순례◈/히말라야문화권 201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