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마도 세이후쿠지 보협인탑 일본 대마도 세이후쿠지 보협인탑 ‘보협인탑(寶篋印塔)’은 탑 안에 〈보협인다라니경〉을 봉안한 탑을 말하며, 공양탑(供養塔), 묘비탑(墓碑塔)으로 건립되었다. 중국에서 시작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해졌다는 문헌상의 기록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오로지 1기만 전해..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23
일본 대마도 세이후쿠지 일본 대마도 세이후쿠지 西福寺, Seifukuji Temple 사이후쿠지로 올라갔다. 사이후쿠지는 조선통신사의 숙소였던 곳이다. 또한 지금은 대마도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나라 시대 대표적 대장경을 소장하고 있던 절이다. 이 원판 대장경은 1277년부터 1290년 사이 중국 항저우(저장성 항현)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22
고대 한국식 고분 - 일본 대마도 아사히야마고분 고대 한국식 고분 - 일본 대마도 아사히야마고분 朝日山古墳, Ashahi Yama 상대마정 하마구스 해안 구릉에 있는 석관묘이다. 좌청룡우백호가 뚜렷하고 안산이 바라보이는 지점에 3기의 석관이 남아있다. 이 유적은 昭和 46년(1971) 比田勝초등학교 학생 金広和君에 의해 발견된 広形銅..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21
일본 대마도 히타카츠항 일본 대마도 히타카츠항 比田勝港, Hitakatsu 새로 지은 부산국제여객터미널을 출항한 비틀 여객선은 1시간 10분간의 항해를 마치고 상대마 히타카츠항에 도착하였다. 대마도에는 히타카츠와 이즈하라 두 곳에서 여객선이 다닌다. 히타카츠 항에 내린 우리는 버스를 타고 역사문화탐방에 나..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20
일본 대마도 일본 대마도 對馬島, Tsushima Island 한반도와 일본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일본의 섬이다. 규슈본토까지의 최단거리는 약 80 km, 남동쪽 이키 섬까지의 거리는 47.5km이며, 한반도와의 거리는 약 49.5km이다. 섬 크기는 남북에 82 km, 동서에 18km이다. 섬 넓이는 700 km²이며, 섬의 인구는 ..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19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여자 하니와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여자 하니와 埴輪, Haniwa ▲여자 하니와 ▲여자 하니와 <2016. 1. 3>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19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남자 하니와 일본 군마현 요쓰즈카 무덤 출토 남자 하니와 四つ塚, Yotsu Tsuka 6세기 하니와(埴輪)는 일본에서 고분시대(250경~500경)부터 무덤 위와 주위에 놓아둔 토용을 말한다. 초기의 하니와는 무덤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원통형 토기였다. 그후 4세기초에는 원통 위에 무사·하녀·무용수·..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6.01.19
일본 목욕하는 여인상 일본 목욕하는 여인상 히나고 지쓰조(日名子実三, 1893~1945) 1931년 제5회 구조사전(構造社展) 출품 대리석 입수경위 불명 ▲목욕하는 여인상 ▲목욕하는 여인상 <2015. 1. 11> ◈극동문화순례◈/일본문화권 2015.05.13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해당화모양접시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모란무늬해당화모양접시 <요녕성박물관> 三彩釉牧丹文海棠花形盤 遼(916~1125) 요나라 삼채의 대표 기형인 해당화모양접시는 거란에서 매우 유행했던 기형으로 요나라 무덤 벽화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그 기원은 당나라에서 유행했던 금은제의 곡선 구연부..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7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무늬대접 요삼채 - 중국 선양 삼채 국화무늬대접 <요녕성박물관> 三彩釉菊花文椀 遼(916~1125) 분홍색 태토에 백색의 화장토를 도포하고 내부는 백, 녹, 황색을 시유하였다. 대접 내부 바닥에 내화토 받침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점채点彩기법으로 내부중심에 국화 한 송이를 시문하였다. 그 바깥.. ◈극동문화순례◈/만주문화권 201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