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영주 영주동 석불입상

蔥叟 2018. 1. 24. 20:38

영주 영주동 석불입상

 

1매의 장방형 석재를 이용하여 광배와 불상, 얕은 대좌를 조각했으며, 눈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매우 좋아서 원형이 거의 그대로 남아 있다. 원래는 영주 시내의 절터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이 불상은 길쭉한 배 모양의 광배(光背)를 등에 지고 당당하게 서 있는 보살상(菩薩像)으로 투박하면서도 박력이 있다. 약 4.5등신에 불과할 정도로 어린아이 같은 비례를 지닌 체구와 높은 부조로 조각된 머리가 강조되어 있다. 세부 조각선(彫刻線)이 간결하면서도 힘이 있다. 보물 지정 명칭은 석조여래이지만,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어서 보살상이라고 판단된다. 보관은 얇은 띠 위로 3개의 꽃송이가 위로 솟은 삼면보관(三面寶冠)이며, 보관과 이마 사이에는 머리카락을 위로 쓸어 올린 모습이 보인다.

 

양감이 풍부한 얼굴에 이목구비가 통통하게 묘사됐으나, 후대에 눈동자를 쪼아내어 본 모습을 잃었다. 굵고 짧은 목에 흐릿하게 삼도(三道)의 흔적이 있으며 넓고 둥근 어깨는 당당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경향은 두툼한 팔, 다리와 손발에서도 공통적으로 드러나 전체적으로 무겁고 둔탁하면서도 박력 있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신체는 양감이 없이 평면적으로 표현되었고, 넓적다리 윗부분을 제외하면 신체의 굴곡이나 입체감이 전혀 없다. 일반적인 보살상은 상반신이 나형(裸形)이고 신체에 목걸이와 영락 장식을 가득 걸치는 것이 일반적인 데에 비해 이 영주동 석조여래입상은 불상처럼 법의를 입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왼쪽 겨드랑이로 내려뜨린 띠 매듭 표현은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불여래좌상(慶州南山茸長寺谷石造如來坐像, 보물 제187호)을 비롯하여 금동약사여래입상(보물 제328호) 등 신라 중대의 불상조각에서 간혹 나타난다. 이는 영주동 석조여래입상이 불상의 법의를 입은 보살상으로 불(佛)과 보살의 외적 특징이 혼동된 채 만들어졌음을 알려준다.

 

광배에는 불상의 신체를 따라 양각으로 띠를 돌리고 그 위에 작은 꽃무늬를 새겼으며 둘레에는 위로 치솟는 불꽃무늬로 세심하게 장식을 했다. 광배의 형태와 그 위에 새겨진 문양 구성은 신라 하대인 9세기 조각에서 볼 수 있다. 조각수법은 투박하지만, 건장한 체구와 당당한 힘이 있는 보살상의 양식적 특징과 소박하게 장식된 광배의 형태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또한 양감에 충실하고 오밀조밀한 이목구비는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제221호),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보물 제116호) 등과 유사성이 있어서 지역적인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석불입상

 

▲석불입상

 

▲광배 띠장식

 

▲광배 띠장식

 

 

 

<2017. 12. 16>

'◈한국문화순례◈ > 영가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흑석사 석탑재  (0) 2018.01.26
영주 영주동 석탑재  (0) 2018.01.25
영주 가흥동 암각화  (0) 2018.01.23
영주 가흥동 여래좌상  (0) 2018.01.22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좌상  (0) 2018.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