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호국사찰 - 경주 사천왕사 종루터
경루터의 맞은편에 종루터라 불리는 곳이 있다. 구조와 규모가 경루터와 같이 동서, 남북 각 3칸씩이며 초석에는 기둥을 꽂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구멍이 나 있다. 사역의 남쪽지역(귀부 주변)에서 석교가 발견되었다. 석교는 조선 시대건물지의 하층에 앞서 축조된 배수로(폭 60㎝, 깊이 50㎝ 내외) 위의 동서 양편 2개소에 있으며 약간의 아치형을 이루고 있는 작은 돌다리이다. 중문지에서 남쪽으로 40m 지점의 양편 약 3.6m 거리에 각각 만들어져 있다.
석교는 평교(平橋, 일명 보다리, 널다리)의 형식으로, 귀틀석, 청판석, 엄지기둥으로 구성된 너비 290㎝, 길이 120㎝의 규모로 너비가 큰 모습이다. 다리 바닥을 형성하는 청판석은 3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운데 부분은 약간의 아치를 이루며 만들어져 있으나, 양단은 편평한 모습으로 약간 소형이다. 귀틀석(길이 130㎝, 너비 30㎝)은 1매의 석재로 가운데 부분이 약간의 아치상을 이루고 있는데, 석교의 양끝과 가운데에 있고, 가장자리 귀틀석 남북 양 끝에는 엄지기둥이 위치한 결구홈이 있으며, 부러진 8각의 엄지기둥 1매가 배수로에서 확인됐다.
동쪽 석교 북쪽으로는 방형의 보상화문전(크기 33㎝)과 무문전이 일부 깔렸음이 확인되어 원래 보도를 형성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배수로 위의 작은 돌다리를 건너 중문으로 출입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교는 중심사역의 외곽 남쪽에 있는 동서귀부 가까이에서 확인되고, 석교의 북쪽(사천왕사 중심부)에 보상화문전(寶相華文塼)이 깔려 있는 것으로 추측하건대, 사천왕사 당시의 석교로 추정된다.
▲종루터
▲종루터
▲종루터
▲종루터 초석
<2013. 12. 25>
'◈한국문화순례◈ > 서라벌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최효자정려비 (0) | 2014.04.05 |
---|---|
경주 성부산 (0) | 2014.04.04 |
신라 호국사찰 - 경주 사천왕사 경루터 (0) | 2014.02.26 |
신라 호국사찰 - 경주 사천왕사 금당터 (0) | 2014.02.25 |
신라 호국사찰 - 경주 사천왕사 서목탑터 (0) | 201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