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미륵을 찾아서 - 안성 기솔리 쌍미륵

蔥叟 2013. 7. 21. 03:55

미륵을 찾아서 - 안성 기솔리 쌍미륵

 

   쌍미륵사에 들어서면 절 입구에서부터 눈에 먼저 띄는 것은 머리에 갓을 쓴 미륵불 두 분이 있다. 부처님 정수리에 솟은 상투모양의 혹에 넓고 둥근 자연석을 다듬어 보석으로 꾸민 관으로 씌워 놓은 것이다. 기솔리 석불입상은 쌍미륵불이라고도 불린다. 남자 미륵불이라 불리는 키 5.4m의 미륵과 여자 미륵불이라 불리는 5.0m 높이의 미륵,  이렇게 두분이 함께 서 있기 때문이다. 기솔리 석불입상이 서 있는곳은 안성 보개면과 삼죽면에 걸쳐 있는 국사봉 산 중턱이다. 미륵불을 정면으로 보고 섰을 때, 왼쪽에 있는  남미륵불이좀 더 크고 몸이 좋다. 커다랗고 갸름한 얼굴이 주는 편안함은 우리 가까이에서 쉽게  만나는 사람들 얼굴에서 느꼈던 낯익음일 것이다. 


   송편처럼 둥그런 눈썹이며 길쪽한 코, 두툼하게 복스럽게 생긴 입술이 그렇다. 목가지 늘어진 귓볼이 후덕함을 더해준다. 등에 거뭇거뭇하게 피어 있는 이끼들이 미륵이  세워진 시간을 말해주고 있다. 얼굴 생김새에 비하면 미륵불의 손과 옷의 주름 등은 세밀하게 조각하지 않았다. 미륵불이 입고 있는 법의는 부드러운 주름을 여러번 지으면서 목 아래부터  발끝까지 만들어져 있다. 미륵불 두 분 모두 손의 위치나 모양이 자연스럽게 보이지는 않는다. 미륵불을 만든 사람이 조각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왼편에 있는 미륵불은  목도 굵직하고, 어깨도 각이 진 모습이다. 이에 비해 오른편에 있는 미륵불은 옷 주름도 훨씬둥글고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목도 어깨 넓이에 비해 가는 편이다. 얼굴 생김새도 조금 더 또렷한 인상을 준다. 두 미륵불이 있는 자리에 서면, 기솔리의 전경이 그대로 한자락에 펼쳐진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는 미륵불 앞에서 우리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많은 소원을 빌고 또 빌었을 것이다.

 

   비대한 얼굴에 나타난 세부 표현, 장방형의 신체에 짧은 상체, 각이 진 어깨와 양감 없는 체구 등에서 고려시대의 지방화 된 석불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거구의 석불들은 이 지방 일대에 상당수 남아 있어서 고려시대 지방화 된 석불양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마치 한 쌍의 부부 장승처럼 보여 쌍미륵이라고 불린다. 얇은 자연석을 둥글게 조각하고 중앙에 구멍을 뚫어 육계에 끼워 갓으로 표현하였으며 둥근 눈썹에 가늘게 생긴 눈, 크고 짧은 코, 굳게 다문 입이 인상적이다. 이곳의 미륵불이 둘이어서 쌍미륵불이라고도 불리는데 이곳의 사찰 이름 또한 쌍미륵사이다. 쌍미륵사에 들어서자 마자 보이는데 왼쪽에 있는 남미륵불의 키가 5.4미터, 오른쪽에 있는 여미륵불이 4미터 정도로 상당히 큰 편이다. 무엇보다도 머리에 갓을 쓴 모양이 눈에 띈다. 대부분의 미륵불들과 마찬가지로 이곳의 미륵불도 둥글 둥글한 얼굴이 편안함과 후덕함을 느끼게 해 준다. 둥근 눈썹이며 길쭉한 코, 두툼하고 복스럽게 생긴 입술이 더욱 후덕하게 느껴진다. 귀근 목까지 늘어져서 인자하게 보인다.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짐작되어 진다.

 

▲쌍미륵

 

▲쌍미륵

▲쌍미륵

 

▲쌍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남미륵

 

▲여미륵

 

▲여미륵 

 

▲여미륵

 

▲여미륵

 

▲여미륵

 

▲여미륵

 

▲여미륵

 

 

 

<2013. 5. 17>